국소마취, 부분마취, 전신마취의 차이점과 마취와 수면안정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국소마취, 부분마취, 전신마취의 차이점을 상세하게 알려주세요. 또한 마취와 수면안정제의 차이도 알려주세요
국소마취, 부분마취, 전신마취의 차이점을 상세하게 알려주세요. 또한 마취와 수면안정제의 차이도 알려주세요
국소마취, 부분마취, 전신마취는 모두 통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이지만, 각각의 특징과 적용되는 상황이 다릅니다. 1.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국소마취는 특정 부위의 감각을 일시적으로 상실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마취제를 직접 통증이 예상되는 부위에 주입하거나 도포하여 해당 부위의 신경을 마비시키는 방식입니다. 환자는 의식은 있지만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됩니다. 치과 치료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 부분마취(Regional anesthesia): 부분마취는 신체의 더 넓은 영역에 대한 감각을 차단합니다. 척추마취(경막외마취, 척수마취)가 대표적인 예로, 척추 주변에 마취제를 주입하여 하반신의 감각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환자는 의식은 있지만 마취된 부위는 통증을 느끼지 않습니다. 3.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전신마취는 환자를 완전히 의식불명의 상태로 만들어 전신의 통증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마취제를 정맥 주사하거나 흡입시켜 환자의 의식을 잃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식입니다. 수술이 끝날 때까지 환자는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며, 전신마취 후 나타는 부작용은 대부분 일시적입니다. 그러나 잦은 전신마취는 심폐 기능, 장기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마취와 수면안정제의 차이점: 마취제는 주로 수술이나 의료적 시술 시 통증을 차단하거나 환자를 의식불명 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수면안정제는 환자가 잠들도록 돕거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며, 주로 진정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수면안정제는 통증을 직접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며, 환자는 수면안정제를 통해 수면 상태에 이르거나 진정되지만, 완전한 의식불명 상태에 이르지는 않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전신마취랑 수면마취 차이가 뭔가요
아이가 중이염으로 튜브 삽입술을 시행했는데 튜브가 저절로 빠지면 앞으로 계속 튜브 삽입술을 여러 번 하면서 경과 관찰을 해야한다네요. 지금은 어려서 전신마취로 수술을 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입학하면 외래에서 부분마취로 수술을 시도해보자는데 아이가 잘 협조하면 계속 부분마취로 수술하면 되고 협조가 안되면 몇번은 전신마취로 해야할 수도 있다는데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까지는 전신마취로 하다가 초등학교 입학할 시기부터는 부분마취로 수술하는 경우도 있나요? 이비인후과 의사 본인 생각은 협조 잘해주면 부분마취로 계속 시행하면 될 것 같고 협조 안되면 이제 전신마취는 하지 말고 수면마취로 수술하다가 아이 잘 설득해서 부분마취로 하자던데요. 수면마취는 보통 위랑 대장내시경에 많이 사용되는 마취이긴 한데 아이한테는 전신마취보다는 수면마취가 덜 부담될거라며 전신마취 그동안 자주 했으니까 그만하고 수면마취나 부분마취로 하자시더라고요.
이루공 수술인데 국소마취하면 소리가 다들리나요? 국소마취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