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모차 타고 진동을 느끼면 흔들림증후군 가능성 있을까요?
아기 생후 30일때부터 집에서 라이너없이 유모차태우고 100일쯤에부터는 라이너없이 동네한바퀴돌아서 진동느끼면 흔들림증후군 올까요 디럭스아니고 절충형이고 기울기도 좀 세웠습니다 목허리도 못가누는 상태고요 걱정되네요
아기 생후 30일때부터 집에서 라이너없이 유모차태우고 100일쯤에부터는 라이너없이 동네한바퀴돌아서 진동느끼면 흔들림증후군 올까요 디럭스아니고 절충형이고 기울기도 좀 세웠습니다 목허리도 못가누는 상태고요 걱정되네요
아기가 유모차를 타며 진동을 느꼈다 하더라도 반드시 흔들림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흔들림증후군은 2세 이하의 유아에서 울거나 보챌 때 심하게 흔들어서 생기는 질환으로 뇌출혈과 망막출혈이 특징적이고, 그 외 장골이나 늑골의 골절 등 복합적인 여러 손상이 동반 될 수도 있는 질환이에요. 이 질환이 발생시 약 30%가 사망하고 약 60%가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고 해요. 그러나 아기가 아직 목과 허리를 가누지 못하는 상태에서 유모차에 태우실 때는 아기의 머리와 목을 충분히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충형 유모차를 사용하실 때는 아기의 안전과 편안함을 위해 라이너나 추가적인 지지대를 사용하여 아기의 머리와 목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안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아기가 유모차에 탈 때는 목과 머리를 충분히 지지해줄 수 있는 라이너나 쿠션을 사용하세요. 2. 유모차의 기울기를 아기의 발달 단계에 맞게 조절하여 아기가 편안하게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세요. 3. 아기가 유모차에 타고 있을 때는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시켜 안전하게 고정시키세요. 4. 유모차를 사용할 때는 불규칙한 길이나 너무 울퉁불퉁한 길을 피하고, 아기에게 과도한 진동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만약 아기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건강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문의는 아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필요한 조치를 안내해줄 수 있습니다. 특별하게 정해진 기간은 없지만, 언제나 아기의 상태를 면밀하게 살펴보시는 것이 필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41일차 아기 토도하고 요즘들어 보챔이 많이늘었어요 그외엔 특이사항은 없습니다 트름시키면서 머리랑 제 몸이랑많이 부딪히고 집이 병원과 거리가있어 차를 한시간씩 태워 카시트탈때 흔들림 놀아준다고 머리가 살짝 흔들리는정도 유모차 태우다 유모차 앞바퀴 하나가 화단에 올라깄다내려와 아기머리 떨림등 가벼운 머리 흔들림만 있었는데 흔들린아이증후군은 아니겟죠?
생후 10일미만 신생아 유모차등 잔떨림으로 인해 뇌손상 가능성이있나요 ? 유모차,이동침대 거리 1분미만거리입니다
어린이집 좀전에 하원하고 왔는데 점점 빨개지더니 이렇게 부풀었어요 하원길은 유모차 커버 닫아서 타고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