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골 핀 제거 수술 후 집에서 소독 가능한가요?
11/11 날 쇄골 핀제거 수술 했습니다 당시에 분쇄골절 되어서 약 18개월동안 핀 박힌상태로 있다가 이번에 핀 제거 수술을 했습니다 이틀에 한번씩 병원에 들려 소독을 해야된다고 하셨는데 여건상 그게 힘들어서 집에서 하려고 하는데 그렇게 해도되는지 궁금합니다 된다고 하시면 집에서 소독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고 어떤게 필요할까요?
11/11 날 쇄골 핀제거 수술 했습니다 당시에 분쇄골절 되어서 약 18개월동안 핀 박힌상태로 있다가 이번에 핀 제거 수술을 했습니다 이틀에 한번씩 병원에 들려 소독을 해야된다고 하셨는데 여건상 그게 힘들어서 집에서 하려고 하는데 그렇게 해도되는지 궁금합니다 된다고 하시면 집에서 소독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고 어떤게 필요할까요?
쇄골 핀 제거 수술 후 집에서 소독을 하시려면 몇 가지 주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병원에서 소독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여건상 어려운 경우 집에서도 소독이 가능합니다. 다만, 소독을 진행하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멸균 거즈, 소독제(예: 포비돈 요오드), 멸균 장갑, 테이프 등을 준비하세요. 멸균 장갑을 착용하고 기존의 드레싱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후, 상처 부위를 깨끗한 물로 부드럽게 씻어내세요. 소독제를 거즈에 묻혀 상처 부위를 부드럽게 닦아주고, 새로운 멸균 거즈로 상처를 덮은 뒤 테이프로 고정하세요. 상처 부위에 통증, 발적, 부종, 열감이 있거나 고름이 나오는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소독 과정에서 사용한 모든 도구는 멸균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상처 상태를 확인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의료진과 상의하여 집에서 소독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 지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에 다른 환자분들의 경우에도 소독이나 드레싱은 병원에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황에 따라 간단한 드레싱 정도는 집에서도 가능하다고 안내되었습니다. 그러나 상처의 상태나 회복 과정에 따라 소독의 필요성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담은 치료를 받는 병원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1년 8월에 쇄골 끝 어깨쪽 분쇄골절로 인하여 수술을 받았습니다. 시간이 없어 핀 제거 수술은 받지 못했던 상황이고 여지껏 아무문제 없이 지내다가 며칠 전 부터 통증이 생기더니 점점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재골절은 아닌 것 같습니다. 팔은 잘 돌아가는데 특정 방향으로 조금만 힘을 주면 통증이 너무 심해서 세수랑 양치를 하기도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떤 이유들이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제거 수술 비용도 대략 알 수 있을까요?
약 4주전에 피지낭종 제거 수술 받고 이번주 월요일부터 병원에서 집에서 소독하면 더 이상 나오지 않아도 된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드레싱 제거 후 딱지들은 자연스럽게 떨어졌고 사진의 상태입니다. 이제 더 소독이나 드레싱 안해도 될까요? 샤워도 가능할까요
이거 가피라고 병원가서 제거하라고 하셨는데 안제거 하고 집에서 계속 소독하고 약바르면 오래걸릴까요? 병원에서 가피 제거하는거는 많이 아플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