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에서 질병코드를 영어 또는 한글로 표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병코드 가 기재되고 그 병명에 대한설명을 영어로 표기를 하는곳도 있고 한글로 표기를 하는곳도 이쓴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 예를들면 개인병원이나 종합병원 이러한 차이가 있는가요??
질병코드 가 기재되고 그 병명에 대한설명을 영어로 표기를 하는곳도 있고 한글로 표기를 하는곳도 이쓴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 예를들면 개인병원이나 종합병원 이러한 차이가 있는가요??
질병코드를 영어 또는 한글로 표기하는 이유는 다양한데요. 먼저, 질병코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화된 코드 시스템인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됩니다. 1. 의사소통의 표준화: 질병코드를 사용하면 의료진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보험사 등 다양한 기관 간의 의사소통을 표준화하고 명확하게 할 수 있어요. 이는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의료정보의 관리: 질병코드를 사용하면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요. 이는 의료기록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통계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다국어 환경: 영어는 국제적인 의사소통 언어로서, 영어로 표기된 질병코드는 다국적 의료진이나 외국인 환자와의 소통에 유용합니다. 4. 법적 및 행정적 요구: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 또는 행정적으로 영어로 된 질병코드 사용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보고 및 협력에 필요합니다. 개인병원과 종합병원 사이에 질병코드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해당 의료기관의 정책, 환자 구성,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어떤 병원은 국제적인 환자나 의료진과의 소통을 위해 영어로 표기할 수 있고, 다른 병원은 주로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글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결국, 각 의료기관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질병코드의 언어 표기 방식이 결정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임신확인 혈액검사를 할때 의료보험 연말정산에 기관명이 표기되면서 언제 진료를 받았는지 날짜도 같이 표기되나요? 아니면 기관명만 표기되나요?
이미지 첨부 합니다 췌장 mri를 찍었는데요, 판독지에 한글 판독과 영어 판독 두가지 기재되어 있는데 영어판독엔 우려스러운 병변이라 기재되어 있고 한글 판독엔 그런 내용은 없어서 의아해서요 한글 판독이 더 상세한 건지여? 답변부탁드려요
기초수급 의료급여를 받고 있는 사람입니다 준 종합병원에서, 제가 이석증으로 치료를 받는중에, 고혈압이 같이와서 이석증은 치료가 다되었고요 고혈압약을 계속 먹고 있는데, 그런데 질병코드가 기타질환으로 올라가서 의료급여연장신청을 하라고 서류가 날라왔습니다 아마 이석증 치료가 올라가서 그런듯하네요 신경과 선생님에게 고혈압을 만성질환 질병코드로 바꿔 달라고하면 바꿔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