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복용 후 칸디다균 검사 결과 신뢰해도 되나요?
칸디다균은 항생제를 먹으면 다른 균과 다르게 더 악화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만약 그럼 항생제를 한 알 복용 후 std검사에서 칸디다균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신뢰해도 되나요?
칸디다균은 항생제를 먹으면 다른 균과 다르게 더 악화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만약 그럼 항생제를 한 알 복용 후 std검사에서 칸디다균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신뢰해도 되나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항생제를 한 알 복용하고 STD 검사를 했는데 칸디다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칸디다에 감염되지 않은 상태라고 보셔도 돼요. :)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칸디다균은 진균, 즉 곰팡이균에 속하기 때문에 항생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만 항생제가 유익균들을 억제하게 되면서 칸디다균이 상대적으로 증식하는 경우가 있긴 해요.
하지만 이런 변화가 실질적으로 나타나려면 항생제를 일정 기간 이상 복용해야 할 가능성이 높고, 단 1정 복용한 경우라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아요.
STD 검사에서 칸디다균이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칸디다 감염은 없는 상태라고 보실 수 있겠어요.
특히 아예 증상이 없다면 더 그렇지요.
보통 칸디다에 감염되면 흰 치즈(두부) 조각 형태의 분비물, 외음부 소양감, 작열감, 성교통, 배뇨통, 외음부 및 질의 홍반, 부종 등이 생길 수 있거든요.
만약 향후 가려움, 냄새, 분비물 증가 같은 불편한 증상이 다시 생긴다면 그때 다시 진료를 받아보셔도 늦지 않아요.
지금 상황에서는 결과를 크게 의심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ᵕ′*)
칸디다 질염의 구체적인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예방법까지 총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아이가 열이나서 이비인후과에 갔더니 목이 많이 부었다고 항생제를 처방해줘서 점심,저녁에 먹었어요 밤에 열이 안떨어지고 몸이 붉어지고 구토를 하여 응급실에 갔더니 염증수치가 높아 몸이 붉어진 것 같다고 장염 항생제를 처방해줘서 하루먹었어요 열이 계속나고 몸에 발진같은게 올라와서 다른 병원에 갔더니 성홍열같다고 항생제주사와 항생제 약을 처방받아 4일치를 먹었는데 간이검사, 배양검사했는데 둘 다 음성이 나왔다고 약을 그만먹어도 된다고 하셨어요 증상은 딸기혀, 고열, 전신발진,인후통, 구토 근데 전에 먹은 항생제때문에 배양검사가 음성나올 수 있다고해서 불안해요
항생제 복용 중인 상태에서 PCR검사를 해도 특정 균이 있으면 검출된다는 게 사실인가요? 사실이 아니라면 항생제 복용 후 며칠이 지나야 검사 결과가 정확한가요?
항생제 복용중이라 칸디다균 걱정되서 그러는데 항진균제 복용해도 괜찮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