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적 검사를 했음에도 계속되는 통증, 조직검사 가능한가요?
산부인과적 검사를 다했음에도 통증이 계속 된다면 조직검사 할 수 있습니까? 조직검사가 가능하다면 통증이 심한 질안쪽에 질 점막 조직을 떼서 검사할수 있습니까? 조직검사를 한다면 세균, 진균, 바이러스등 여러가지특정원인을 알아낼수 있습니까? 그리고 염증검사를 하려고 하는데 산부인과적 염증 검사란 무엇입니까? 혈액염증검사인가요? STD12종 검사만 이미 5번을 했습니다.
산부인과적 검사를 다했음에도 통증이 계속 된다면 조직검사 할 수 있습니까? 조직검사가 가능하다면 통증이 심한 질안쪽에 질 점막 조직을 떼서 검사할수 있습니까? 조직검사를 한다면 세균, 진균, 바이러스등 여러가지특정원인을 알아낼수 있습니까? 그리고 염증검사를 하려고 하는데 산부인과적 염증 검사란 무엇입니까? 혈액염증검사인가요? STD12종 검사만 이미 5번을 했습니다.
AD
산부인과적 검사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조직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질 점막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나,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를 추가로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산부인과적 염증 검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들(예: C-반응단백질, 백혈구 수치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질 분비물 검사를 통해 질 내 염증을 직접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STD(성병) 12종 검사를 이미 5번이나 받으셨다면, 성병에 의한 염증은 어느 정도 배제할 수 있겠지만, 다른 원인에 의한 염증이나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통증의 원인을 찾기 위해 조직검사 외에도 추가적인 영상진단(예: 초음파, MRI 등)이나 다른 전문과의 협진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상세하고 정확한 검사결과 안내는 검사를 시행하신 의료기관에 문의하시어 답변을 받아보실것을 반드시 권장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생리기간이 아닌데 출혈이 계속되어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고, CA19-9 수치가 35 CA125 수치가 36.3 이 나왔습니다 조직검사를 더 진행해야 할 수치인가요? 암의 가능성이 있나요?
생리기간이 아닌데 출혈이 계속되어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고, CA19-9 수치가 35 CA125 수치가 36.3 이 나왔습니다 조직검사를 더 진행해야 할 수치인가요? 암의 가능성이 있나요?
산부인과 가서 hpv검사는 음성나왔는데 조직검사 결과가 양성일 수 있나요? 생김새는 질전정유두종같았는데.. 조직검사 결과가 곤지름이라 좀 당황스러워요.. 그래서 궁금한 점은 1. 병원에서는 hpv가 돌기만남기고 사라졌을 수 있다고 하는데 맞나요? 아니면 잠복기라 hpv검사가 음성 나온걸수도있나요? 의사선생님마다 소견이 다른거같아서요(성관계는 올해 2월초, 4월말에 했고, 발견은 4월말에 했어요) 2. 조직검사는 100프로 정확한건가요? 이제 질전정유두종일 가능성은 없는건가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판단하는건지 아니면 곤지름 판명 시약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3. 이번에 전기소작술로 제거했는데 얼마에 한번씩 hpv검사가 필요할까요? 4. 성관계는 얼마동안 안하는게 성병 전파가 안될까요? 상대방은 감염이 안된 상태라고 가정하에, 이미 저랑 몇 번 관계를 가졌으면 옮겼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