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혈관 협심증 진단확정 기준은 무엇인가요?
미세혈관 협심증 진단확정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미세혈관 협심증 진단확정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D
미세혈관 협심증의 진단확정 기준은 여러 가지 임상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지는데요, 주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진단합니다:
첫째, 환자가 전형적인 협심증 증상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이는 '고춧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다', '벌어지는 것 같다', '숨이 차다' 등으로 표현되는 통증이 있을 때를 말합니다. 통증은 안정 시에는 없다가 심장 근육에 산소가 많이 필요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큰 관상동맥에 협착이 없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입니다. 관상동맥 조영술은 심장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검사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셋째, 심장 스트레스 검사에서 심근 허혈을 시사하는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운동부하검사나 약물부하검사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넷째, 심장 MRI 또는 PET와 같은 검사를 통해 미세혈관 기능 이상을 확인할 수 있을 때입니다.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다른 원인을 배제하고 미세혈관 기능 이상을 확인하여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결과만으로 확정 진단을 내리기는 어렵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가슴통증 등 병원에서 변이형 협심증을 의심하셔서 먹는약이랑 혀 밑에 뿌리고 넣는 약도 받았습니다. 그렇게 약을 복용하던 중 혈관조영술 및 혈관수축유발검사라는 변이형 협심증 확진검사를 받았는데 정상이라고 수축이 안된다고 깨끗하다고 아마 미세혈관협심증 같다고 그러셔서 약도 끊고 그랬는데 몇개월 뒤 다시 가슴통증 등 증상이 나타나는데 혹시 정상이었는데 약을 먹어서 변이형 협심증이 발병했다거나 수축유발검사할때 투여한 유발약물로 병이 생기진 않죠? 그리고 제가 부정맥으로 콩코르정도 먹고 있는데 콩코르정이 미세혈관협심증을 악화시킨다고 먹지 말라셨는데 그럼 부정맥 약을 안먹을 수도 없고 지금까지 몇번 약을 바꾸고 겨우 맞는 게 콩코르정이였어서 그냥 먹고 있는데 진짜 콩코르정이 미세혈관협심증이나 변이형 협심증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나요?
협심증 진단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협심증을 확실히 알수있는방법은 어떤검사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