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로 인한 조기수축이 심장마비 가능성 높아요?
제가 스트레스을 받으면 조기수축이 좀 많이 나타나요. 일단 심장초음파 심전도 엑스레이 혈액검사 모두 저번달에 문제 없었어요. 조기수축으로 심장마비같은 안좋은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나요? 20대 입니다
제가 스트레스을 받으면 조기수축이 좀 많이 나타나요. 일단 심장초음파 심전도 엑스레이 혈액검사 모두 저번달에 문제 없었어요. 조기수축으로 심장마비같은 안좋은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나요? 20대 입니다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조기수축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빈맥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요. 하지만 건강한 20대에서 조기수축이 발생한다고 해서 반드시 심장마비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에요. 심장초음파, 심전도, 엑스레이, 혈액검사에서 모두 정상 결과가 나왔다면 심각한 심장 질환의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수축이 자주 발생하거나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 스트레스 관리와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할 수 있어요. 만약 증상이 계속되거나 걱정이 된다면 주치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평가나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외수축은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증상이며, 결과 상 기외수축 발생 비율이 높지 않다면 큰 이상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자세한 사항은 의사와 검사 결과 상담 시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만3세 몇일전 열이나서 감기 (목부음) 항생제를 먹고있습니다. 지금은 열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눈다래끼 (세균성) 로 오늘 병원에서 새로운 항생제를 받아왔는데 이틀치 남은 감기 항생제를 먼저 다 먹고 새로 타온 다래끼 항생제를 먹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기존 감기항생제는 버리고 새로운 다래끼 항생제를 먹는게 맞을까요? 항생제 사진 첨부합니다
10개월 아기가 바깥쪽 눈다래끼로 5일치 항생제와 안약을 처방 받아 모두 먹고 안약 한번씩 넣고 있는데요 다래끼기 많이 부음이 호전되었지만 다래끼 부분이 눈꺼풀 안쪽에 아직 빨갛습니다 항생제를 더 먹어야 하나요 아님 안약연고제 바르며 좀 지켜봐야할까요
2틀전부터 눈에 느낌이 이상하더니 눈다래끼가 났어요.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깐 다래끼중 겉다래끼라고 하던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어느병원을 가야하고 어떤항생제?약? 을 처방받아야 하나요? 더 심해져서 눈을 절개하고 싶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