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향 아동이 ADHD약 콘서타 복용 시 안전한가요?
불안이 심한 자폐성향을 가진 아동이 신경과민, 감정조절, 분노조절이 안되서 ADHD약인 콘서타 약을 먹어도 괜찮을까요?
불안이 심한 자폐성향을 가진 아동이 신경과민, 감정조절, 분노조절이 안되서 ADHD약인 콘서타 약을 먹어도 괜찮을까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콘서타(성분명: 메틸페니데이트)를 복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문의와의 상세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콘서타는 ADHD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에게도 ADHD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증상에 따라 처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폐성향 아동의 경우, 약물 반응이 일반적인 ADHD 아동과 다를 수 있으며, 불안이나 신경과민, 감정 조절 문제 등이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아동의 전반적인 상태, 기존의 증상, 그리고 약물에 대한 반응을 면밀히 평가해야 합니다. 약물 치료를 고려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ADHD 증상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소아정신과 전문의나 소아신경과 전문의와 상담합니다. 2. 아동의 현재 상태와 복용 중인 다른 약물,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약물 치료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합니다. 3. 약물을 처방받게 되면, 처음에는 낮은 용량으로 시작하여 아동의 반응을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용량을 조절합니다. 4. 부작용이나 약물의 효과에 대해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아동의 상태에 따라 치료 계획을 조정합니다. 약물 치료는 아동에게 맞춤화되어야 하며,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자폐성향을 가진 아동에게 콘서타를 복용하는 것이 안전한지 여부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해야 합니다. 콘서타는 부정맥, 심장질환, 정신과적인 질환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한 약물이며, 복용 후 초조, 불안, 어지러움, 긴장, 공황발작 등 정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상반응 발생 시 약을 처방 받은 진료의와 상담이 필요하며, 용량 변경, 이상반응 개선을 위한 약 추가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아이가 자폐로 진단받은 아이인데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이 너무 심해 일상생활에 영향이 심합니다 감정조절도 안됩니다 약은 무조건 대면진료로만 처방받아야하나요?
ADHD가 아니라 ASD 환자가 콘서타, 아토목세틴을 복용하면 불법인가요? 저는 자폐증(자폐 스펙트럼 장애)이 있고, ADHD는 아닙니다 1) 다만, ADHD 검사에서 비일관적인 모습이 관찰됐고 주치의의 주장이 따르면 'ADHD 검사에서 ADHD는 아니라고 나왔지만 ADHD라고 진단해서 처방은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추궁하니 'R/O ADHD'로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2)또한 ASD 당사자는 ADHD는 아니라도 과다행동, 충동성, 무관심, 주의산만성 문제가 있을 경우 콘서타, 아토목세틴이 악효가 있음을 입증된 걸로 아는데 정확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압니다. 3) ADHD에 해당하지 않는 ASD 환자가 과다행동, 충동성, 무관심, 주의산만성 문제 등으로 콘서타, 아토목세틴을 복용하면 불법인가요?
Adhd 콘서타 약 오후 4시에 먹어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