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 후 기침이 심해져 잠자리에서 멈추는 고1 남자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앞서 문의드린 고1 남자아이입니다. 1차병원에서 기흉이라 해서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산소치료 3시간 받았습니다. 기흉 구멍이 작고 괜찮다고 해서 퇴원했습니다. 그런데 귀가 후 앉아있을 때 기침이 또 심해져서, 처방받았던 기관지염 약을 먹고 재웠습니다. 아이가 누워 잘 때는 다행히 기침이 멈춥니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봐야 하나요?
앞서 문의드린 고1 남자아이입니다. 1차병원에서 기흉이라 해서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산소치료 3시간 받았습니다. 기흉 구멍이 작고 괜찮다고 해서 퇴원했습니다. 그런데 귀가 후 앉아있을 때 기침이 또 심해져서, 처방받았던 기관지염 약을 먹고 재웠습니다. 아이가 누워 잘 때는 다행히 기침이 멈춥니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봐야 하나요?
AD
기흉 후에도 기침이 지속되는 경우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흉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거나 다른 합병증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조치를 권장드립니다:
재진료: 기흉이 완전히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침이 심해지는 경우, 폐 상태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흉부 엑스레이 등으로 폐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침 완화: 처방받은 기관지염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서 기침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기침이 심해지면 폐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기침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염진통제나 근이완제의 복용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휴식: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흉 후에는 폐가 회복될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추가 증상 관찰: 호흡 곤란, 가슴 통증, 어지러움 등의 추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기흉은 재발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시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흉이 발생한 후에는 폐가 회복될 시간이 필요하므로, 아이가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무리한 활동을 피하도록 지도해 주세요. 또한, 기침이 심해질 경우 폐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기침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호흡 곤란이나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