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바늘이 혈관을 관통했을때 바늘을 조금 빼서 혈관에 잘 들어가서 주사기에 피가 고이는데
바늘이 혈관에 삽입된건 맞는데 주사각도가 잘못됐다거나 바늘이 혈관에 살짝만 삽입됐을 땐 왜 주사기에 피가 안고일까요?
2: 바늘이 혈관 중앙에 삽입됐을때만 피가 뽑힐까요?
3: 바늘이 혈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을 살짝 빼낸후 주사기 각도를 낮추거나 높혀서 다시 혈관에 바늘을 다 삽입하면 혈관손상 이외에는 문제될게 없나요?
4 바늘이 혈관에 제대로 들어가면 주사기 앞쪽에 피가 고인다는데 주사기 앞쪽에 피가 안고였는데 주사기밀대를 뒤로 당겨서 피가 역류되는 경우는 뭐죠?
5 주사기밀대를 뒤로 당기지 않고 바늘 삽입과 동시에 피가 역류되는건 뭐죠?
6 혈관확인하고 용액주입하는데 주입할 때 혈관이 도망가기도 하나요? 도망간다면 바로 알 수 있나요?
7 주사기 방향을 혈관라인따라서 안잡고 사선인 혈관에 일자로 주사기 방향을 잡고 주사하면 피가 안뽑히나요? 아니면 용액주입할때 문제가 생기나요?
외과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닥터나우는24시간 열려있어요!
외과 관련 1개의 답변
실시간 고민 해결사
닥터나우 AI
2025.04.01
1. 주사기에 피가 고이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바늘이 혈관에 살짝만 삽입되었거나, 주사각도가 잘못되어 혈관 벽에 밀착되지 않았을 경우 피가 주사기로 들어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혔을 수도 있으니, 주사 바늘 부위 피부가 부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혈관이 터졌거나 부었다면 바늘을 빼고 다시 처치가 필요해요.
2. 바늘이 혈관 중앙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혈관 내에 충분히 들어가 있다면 피가 뽑힐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혈관 벽에 너무 가까이 있거나 벽을 뚫고 지나갔다면 피가 잘 뽑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혈관의 굵기만으로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3. 바늘을 살짝 빼낸 후 각도를 조정하여 다시 삽입하는 것은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혈관 손상 외에도 주사 부위에 멍이 들거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혔을 수도 있으니, 주사 바늘 부위 피부가 부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4. 주사기 앞쪽에 피가 고이지 않고 밀대를 뒤로 당겼을 때 피가 역류되는 경우는 바늘이 혈관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았거나, 혈관 벽에 너무 가까이 위치해 있을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혔을 수도 있으니, 주사 바늘 부위 피부가 부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5. 바늘 삽입과 동시에 피가 역류되는 것은 바늘이 혈관에 제대로 삽입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혈관이 막혔을 수도 있으니, 주사 바늘 부위 피부가 부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6. 주입할 때 혈관이 도망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혈관이 움직이거나 수축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주사액이 제대로 주입되지 않거나 저항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혔을 수도 있으니, 주사 바늘 부위 피부가 부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7. 주사기 방향을 혈관 라인에 맞추지 않고 사선으로 삽입하면 피가 잘 뽑히지 않거나, 용액 주입 시 저항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혈관의 방향에 맞춰 주사기를 삽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관이 막혔을 수도 있으니, 주사 바늘 부위 피부가 부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첨부된 이미지를 제외하고 해석한 답변이에요.
본 답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 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닥터나우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