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고혈압 검사 후 혈압이 계속 높게 나와 약을 먹어야 할까요?
20대초반 남자 24시간 고혈압 검사 하고 이상없다했는데 병원에서 자꾸 고혈압수치의 혈압이 나옵니다 약을 먹어야할까요
20대초반 남자 24시간 고혈압 검사 하고 이상없다했는데 병원에서 자꾸 고혈압수치의 혈압이 나옵니다 약을 먹어야할까요
20대 초반 남성분이시고 24시간 혈압 검사 결과 고혈압 수치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먼저 생활습관을 개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저염식이, 정상체중 범위 내로의 관리, 규칙적인 운동, 금주, 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을 병행해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약물적 요법으로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고혈압은 뇌졸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의사와 충분히 상담 받아 보시고 약물 복용에 대해 결정해 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혈압의 지속적인 추이를 좀 더 상세히 측정해 보시고, 필요하다면 내과 재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 가정용 혈압계랑 병원 자동혈압계 중 뭐가 더 정확하나요? 고혈압인데 가정용 혈압계가 이상한건지 측정할 때마다 낮게 나오고 병원 자동혈압계는 측정할 때마다 정상 수치거나 높게 나오는데 아침에 약 먹기 전 가정용 혈압계로 측정해봐도 낮게 나와요. 2. 가정용 혈압계와 병원 검사인 24시간 혈압 검사 기계 중에 뭐가 정확하나요? 병원 검사인 24시간 혈압 검사 기계로는 엄청 높게 나와 고혈압으로 진단하고 약 먹고 있는데 가정용 혈압계로는 항상 낮게 나와요. 가정용 혈압계는 고혈압 진단 받기 전부터 가끔 사용하던 건데 항상 정상 수치보다 약간 낮거나 많이 낮거나 그렇게 측정되었어요. 가정용 혈압계만 보면 고혈압이 아니라 오히려 저혈압에 가깝고 24시간 혈압 검사로는 위험할 정도로 높은데요. 근데 혈압이 낮은 상태로 약을 먹으면 저혈압 증상 등이 나타나야하는데 그렇지도 않고 오히려 혈압이 높았을 때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정용 혈압계와 24시간 혈압 검사 중 뭐가 더 정확해요?
제가 고혈압 검사를 받는데, 7월 5일에 혈액검사랑 소변검사를 하고, 7월 8일에 24시간 혈압측정기랑 24시간 채뇨 한 걸 병원에 주러 갑니다. 그러면 고혈압검사 결과가 언제 후에 나오나요?
고혈압약을 먹고있는데요. 2치성 고혈압 감별을 위해 24시간 소변검사를 했고 피검사는 전체적으로 이상없지만 알도스테론 27, 레닌 0.7이 나왔어요. 이비율이 20이 넘어간다고 하는데ㅜ어떻게 해야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