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벽 탈장, 수술이 필요한가요?
태어날때부터 명치쪽에 복벽 탈장이 있었어요 가만히 누워있으면 볼록 튀어 올라와있으며 누르면 물컹물컹 탈장된 듯이 만져집니다 수술해야하나요? 자연치료되나요?
태어날때부터 명치쪽에 복벽 탈장이 있었어요 가만히 누워있으면 볼록 튀어 올라와있으며 누르면 물컹물컹 탈장된 듯이 만져집니다 수술해야하나요? 자연치료되나요?
AD
태어날 때부터 명치 쪽에 복벽 탈장이 있다면, 이는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복벽 탈장은 내부 장기가 복벽의 약한 부위를 통해 튀어나오는 상태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명치 쪽에 탈장이 있고 누르면 물컹물컹한 느낌이 든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을 통해 탈장된 부위를 교정하고 복벽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는 재발을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까운 병원의 외과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복막투석중입니다 배꼽 아래 왼쪽 부분이 딱딱한것이 만져집니다 배꼽주변 복벽 탈장의 경우 누워서 배에 힘을주면 탈장이 튀어나오나요? 보통 탈장은 서있으면 튀어나오고 누우면 들어가던데 배꼽주변 복벽 탈장은 누워서 힘을주면 알수 있나요? 변비가 있어도 배꼽아래 오른쪽 복벽이 튀어나오거나 딱딱한게 만져질수 있나요?
복벽탈장을 초음파로 진단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초음파로 복벽탈장을 진단할 시에 장이 바깥으로 빠져나온걸로 진단하는건가요? 아니면 복벽의 결손고 초음파로 보는건가요? 다시말해 장이 튀어나오지 않았어도 복벽이 뚫린게 초음파로도 식별이 가능한건지
복벽탈장의 발생 비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대부분이 서혜부 탈장인걸로 아는데 그냥 배에 생기는 탈장의 빈도가 궁금합니다. 매우 드문 편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