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I검사 결과 0.8로 낮음, 가정용 혈압계로 1.2 전후로 나옴. 병원 재검 필요한가요?
최근건강검진에서 abi검사 0.8로 낮게 나왔습니다 . 하루 2만보가량 걷는 생활에 해당 증상이 없어 집에있는 가정용 혈압게로 측정 했을때는 1.2 전후로 나옵니다 건강검진이 잘못된걸까요 아니면 병원 방문해서 재검 받는게 좋을까요
최근건강검진에서 abi검사 0.8로 낮게 나왔습니다 . 하루 2만보가량 걷는 생활에 해당 증상이 없어 집에있는 가정용 혈압게로 측정 했을때는 1.2 전후로 나옵니다 건강검진이 잘못된걸까요 아니면 병원 방문해서 재검 받는게 좋을까요
ABI(발목 상완 지수) 검사 결과가 0.8로 나왔다면 말초동맥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정용 혈압계로 측정한 결과가 1.2 전후로 나왔다고 하시지만, 가정용 혈압계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전문 장비만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요. 따라서 병원에서 재검사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까운 내과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 가정용 혈압계랑 병원 자동혈압계 중 뭐가 더 정확하나요? 고혈압인데 가정용 혈압계가 이상한건지 측정할 때마다 낮게 나오고 병원 자동혈압계는 측정할 때마다 정상 수치거나 높게 나오는데 아침에 약 먹기 전 가정용 혈압계로 측정해봐도 낮게 나와요. 2. 가정용 혈압계와 병원 검사인 24시간 혈압 검사 기계 중에 뭐가 정확하나요? 병원 검사인 24시간 혈압 검사 기계로는 엄청 높게 나와 고혈압으로 진단하고 약 먹고 있는데 가정용 혈압계로는 항상 낮게 나와요. 가정용 혈압계는 고혈압 진단 받기 전부터 가끔 사용하던 건데 항상 정상 수치보다 약간 낮거나 많이 낮거나 그렇게 측정되었어요. 가정용 혈압계만 보면 고혈압이 아니라 오히려 저혈압에 가깝고 24시간 혈압 검사로는 위험할 정도로 높은데요. 근데 혈압이 낮은 상태로 약을 먹으면 저혈압 증상 등이 나타나야하는데 그렇지도 않고 오히려 혈압이 높았을 때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정용 혈압계와 24시간 혈압 검사 중 뭐가 더 정확해요?
4월에출산하고 한달후 내과가서 산후검사겸 받으러갔는데 수동으로 혈압잿는데 110/80으로 정상으로나왓다가 몇일전부터 집에서 가정용혈압계로 재보니 140대로 높게나와요ㅜ누워서재면 130대로 나오고.. 평소에도 병원혈압계로재면 또 높게나오고..트라우마가 생긴거같아요ㅠㅠ..정확한이유알고싶어요ㅠㅠ
1. 고혈압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 있는 기준은 병원에서 하는 24시간 혈압 검사로 정하는건가요? 아니면 병원에서 자동혈압계로 몇 번 측정하고 정상 수치면 약을 줄이거나 끊는건가요? 환자한테 집에 가서 가정용 혈압계로 측정을 여러 번 한 것으로 판단하는건가요? 2. 고혈압 약을 줄이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3. 고혈압 약을 끊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4. 고혈압 약 먹고 혈압이 정상 수치로 여러 번 나오면 약을 줄이거나 끊나요? 5. 24시간 혈압 검사와 병원에서 측정하는 자동혈압계, 병원에서 측정하는 가정용 혈압계, 가정에서 측정하는 가정용 혈압계 중에서 제일 정확한 혈압계는 뭔가요? 24시간 혈압 검사가 제일 정확한건가요? 6. 같은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부정맥과 고혈압 진료는 A 의사께 받고 협심증 진료는 B 의사께 받아도 되나요? 7. 시내버스 기사님들은 화장실 가고 싶으면 어떻게 대처하나요? 운행 중 승객들께 양해를 구하고 근처 화장실에 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