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 수치가 이식 후 5년 만에 13점대로 오른 이유는 독감으로 인한 영향일까요?
백혈병 이식후 5년이 되어가는데 1월쯤 피검사를 했더니 다른건 다 정상이고 백혈구 수치만 평소(8점대)와 달리 13점대가 나왔습니다. 물론 검사하기 딱 2주전에 독감에 걸렸다가 나았고요. 근데 교수님께선 그것때문에 오른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2주가 지났는데도 백혈구 수치가 그렇게 높을수있나요?
백혈병 이식후 5년이 되어가는데 1월쯤 피검사를 했더니 다른건 다 정상이고 백혈구 수치만 평소(8점대)와 달리 13점대가 나왔습니다. 물론 검사하기 딱 2주전에 독감에 걸렸다가 나았고요. 근데 교수님께선 그것때문에 오른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2주가 지났는데도 백혈구 수치가 그렇게 높을수있나요?
독감이나 다른 감염성 질환은 백혈구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어요. 백혈구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의 일부로, 감염과 싸우기 위해 활성화되는데요. 감염이 있을 때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것은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에요. 독감에 걸린 후 회복되었다 하더라도, 면역 체계는 여전히 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이는 백혈구 수치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감염 후 몇 주 동안 백혈구 수치가 높게 유지될 수 있어요. 그러나 백혈병 이식 후 5년이 지난 상황에서 백혈구 수치가 증가한 것은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다른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해요. 교수님께서 독감 때문에 백혈구 수치가 오른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면, 그것은 가능한 시나리오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는 정기적인 추적 검사와 의료진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8개월아기 입원했었는데 Crp수치 8 백혈구수치 15만 퇴원전에 피검사 하니 Crp수치 3.50 백혈구수치 19만 Crp수치는 떨어졌는데 백혈구수치가 올라있는상태에서 퇴원을 시켜도 되는건가요?
올해 만 5세 아이인데요.. 오늘 A형 독감 진단 받았습니다. 고열로 타미플루와 해열주사 수액 맞고 일단 통원치료 했는데.. 피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가 평균보다 낮다고 (결과 수치 4.18) 내일 다시 와서 입원하라고 하시는데.. 독감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백혈구 수치가 낮을수 있다고 하는데 꼭 입원을 해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ㅠㅠ
임신 전 산전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12.17 혈소판 수치 409 (코로나 감염 ESR 24, CRP 0.6) 임신 후 7주에 검사하니 백혈구 수치 7.56 혈소판 수치 416 임신 10주 혈소판 수치 9.30 혈소판 수치 428 1. 임신 7주에 백혈구 수치가 내려간건 코로나가 다 나아서 내려간걸까요? 아니면 임신으로 인해 내려간건가요? 2. 임신 10주에 울고나서 검사 받았는데 그래서 혈소판이랑 백혈구 증가가 된걸까요? 3. 출산 후엔 백혈구 수치가 임신 전 12.17처럼 올라갈까요? 2021년엔 혈소판 수치는 좀 높아도 백혈구 수치는 6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