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편 접형동 축농증과 중이염 증상, 항생제 복용 후 남아있을 수 있을까요?
측편 접형동에만 축농증이 생기는 경우가 흔한가요?? 아니면 항생제 약먹고 농이 빠지면서 접형동에만 남아있는걸까요?.. 귀에 물기가 살짝 흐르는 느낌이 나는데 중이염 증상인지도 궁금합니다
측편 접형동에만 축농증이 생기는 경우가 흔한가요?? 아니면 항생제 약먹고 농이 빠지면서 접형동에만 남아있는걸까요?.. 귀에 물기가 살짝 흐르는 느낌이 나는데 중이염 증상인지도 궁금합니다
측편 접형동 축농증과 중이염은 상기도 감염의 일종으로, 항생제 치료 후에도 증상이 남아있을 수 있어요. 항생제는 감염을 일으키는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때로는 염증이나 부기가 완전히 가라앉지 않아 증상이 지속될 수 있어요. 측편 접형동 축농증이 특정 부위에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아요. 축농증은 부비동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접형동은 부비동 중 하나에요. 항생제를 복용한 후 농이 빠지면서 특정 부위에만 남아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요. 이는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나 개인의 염증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귀에 물기가 흐르는 느낌이 있다면, 이는 중이염의 증상일 수 있어요. 중이염은 귀의 중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하며, 이로 인해 귀에서 분비물이 나오거나 물기가 흐르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중이염의 증상으로는 귀의 통증과 발열, 심한 경우 노란 고름이나 피고름이 나오기도 하고, 두통, 귀울림, 귀 먹먹함이 동반될 수 있어요. 만약 항생제 복용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다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의사는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요. 이비인후과 진료를 통해 증상에 맞는 약을 처방 받아 복용하시는 걸 권유드릴게요.
꼭 확인해주세요.
축농증과 중이염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위장보호제가 들어가 있는 약을 복용하고 있는데도 속이 너무 쓰립니다. 항생제가 들어있어 약을 끊을 수도 없는데, 어떡하죠? 약국에 가서 추가적으로 위장약을 살까요?
축농증이 있는 것 같아 부비동 ct 찍어봤더니 오른쪽 접형동에만 부비동염이 있대요. 왼쪽은 멀쩡한데, 오른쪽 접형동에 부비동염이 있어도 왼쪽 머리랑 치아가 아플 수 있나요?
오른쪽 접형동에만 축농증이 있는데 양쪽귀의 이관기능이 떨어질수도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