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후두염과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처방약은 무엇인가요?
역류성 후두염 역류성 식도염 처방약
역류성 후두염 역류성 식도염 처방약
역류성 후두염과 역류성 식도염은 위 내용물이 소량씩 식도로 역류하고, 이러한 역류의 과정이 반복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하거나 위산의 역류를 줄이는 약물을 처방합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프로톤펌프 억제제(PPIs):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에스오메프라졸, 판토프라졸 등이 있으며,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줄입니다. 2. H2 수용체 차단제: 라니티딘, 파모티딘 등이 있으며, 위산 분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3. 알지네이트 함유 제산제: 알지네이트는 위산과 반응하여 젤 형태의 물질을 만들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프로키네틱제: 메토클로프라미드, 돔페리돈 등이 있으며,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여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줄여줍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사용되어야 하며, 개인의 증상과 건강 상태에 따라 적합한 약물과 용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 기본 원칙은 생활 습관을 변화 시키는 것입니다. 과식을 피하고, 탄산음료, 흡연, 지방이 많은 음식, 커피, 초콜릿, 술, 오렌지주스 등의 음식물과 근육 이완제 등 일부 약물을 피해야 하며, 체중을 줄이고, 쭈그려 앉지 않고 식사 후에 바로 눕는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ADHD가 아니라 ASD 환자가 콘서타, 아토목세틴을 복용하면 불법인가요? 저는 자폐증(자폐 스펙트럼 장애)이 있고, ADHD는 아닙니다 1) 다만, ADHD 검사에서 비일관적인 모습이 관찰됐고 주치의의 주장이 따르면 'ADHD 검사에서 ADHD는 아니라고 나왔지만 ADHD라고 진단해서 처방은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추궁하니 'R/O ADHD'로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2)또한 ASD 당사자는 ADHD는 아니라도 과다행동, 충동성, 무관심, 주의산만성 문제가 있을 경우 콘서타, 아토목세틴이 악효가 있음을 입증된 걸로 아는데 정확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압니다. 3) ADHD에 해당하지 않는 ASD 환자가 과다행동, 충동성, 무관심, 주의산만성 문제 등으로 콘서타, 아토목세틴을 복용하면 불법인가요?
설트랄린 75mg 복용후 불안와 충동이 심해졌요 adhd때문인가요?
adhd의심이 되서 정량뇌파검사랑 iva-2(전두엽능력검사) 두개를 진행했는데 iva-2에서 인지능력이 매우 떨어진다고 나왔지만 정작 정량뇌파검사에서는 크게 심각한 증상은 없다고 하네요.. 제가 어렸을때부터 집중력장애, 감정조절장애, 충동성강함등등의 adhd증상들이 있어서 확신을 했었는데 막상 뇌파검사에는 이상이 없다고 하니, 제가 adhd가 맞나 의심이 됩니다. 저처럼 뇌파에 이상이 없어도 adhd가 맞을수 있나요? 아니면 혹시 다른 정신 관련질병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