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름이 있으면 HPV 검사로 알 수 있나요?
만약 곤지름이있거나하면 hpv검사로 알수잇나요?
만약 곤지름이있거나하면 hpv검사로 알수잇나요?
AD
곤지름과 HPV 검사의 관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HPV 검사는 인체 유두종 바이러스(HPV)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곤지름(생식기 사마귀)은 주로 HPV 6번과 11번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HPV 검사를 통해 이러한 바이러스 유형의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HPV 검사 결과만으로 곤지름을 직접적으로 진단하지는 않습니다. 곤지름은 주로 의사의 임상적 진찰을 통해 눈으로 확인하여 진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로는 의심 증상이 있을 때 별도의 HPV 검사 없이도 임상적으로 곤지름을 진단하기도 합니다.
HPV 감염 여부는 혈액검사로는 확인할 수 없으며, 주로 조직검사나 PCR(유전자 검사)을 통해 확인합니다. 따라서 곤지름이 의심된다면 산부인과나 비뇨기과를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Hpv검사 받으면 곤지름 유무도 알 수 있나요?
곤지름 제거 시술 후 hpv 검사 결과 음성이라는데 이는 조직검사인가요 아니면 hpv pcr인가요? 또 곤지름이 아닐 수 있나요?
아까 질문을 올렸을 때 아래와 같이 답변을 받았어요. 제가 2017년도 hpv예방 주사를 받았고 일년 주기로 hpv검사를 받았을 때 바이러스 검출이 된 적이 없는데 항문곤지름 진단을 받았고든요. 또한, 질쪽으로 HPV 검사를 할 때 항문쪽 곤지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질과 항문은 다른 부위이며, 각각의 부위에서 별도의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HPV 검사는 주로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HPV 유형을 찾기 위해 질 부위에서 시행되며, 항문 부위의 HPV 감염 여부는 별도의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궁금한 점이 체내에 그럼 hpv바이러스가 있더라도 질로 검사할 때는 검출이 안될 수 있다는 거죠..? 그리고 왜 질로 성관계를 맺었는데 왜 항문에 곤지름이 생긴 걸까요? 그건 알 수 없는거죠…? 그리고 항문외과 선생님께서 항문에 곤지름 있는 경우 질에는 곤지름 안 생긴다고 성관계 맺어도 크게 상관 없자고 하셨는데 인터넷 찾아보면 아닌 것 같아서요…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