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염 진단 후 육안과 촬영상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초음파와 복부CT결과 담석2cm 만성 담낭염 추정으로 나왔는데, 수술결과 급성 담낭염 추정입니다. 촬영상으로는 만성 담낭염과 유사하면서 육안으로는 급성 담낭염과 유사한 질환은 무엇인가요?
초음파와 복부CT결과 담석2cm 만성 담낭염 추정으로 나왔는데, 수술결과 급성 담낭염 추정입니다. 촬영상으로는 만성 담낭염과 유사하면서 육안으로는 급성 담낭염과 유사한 질환은 무엇인가요?
담낭염 진단 시 촬영 영상과 육안 소견 사이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담낭의 염증 상태나 질환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초음파와 복부 CT는 담석의 존재, 담낭 벽의 두께, 염증의 정도 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만성 담낭염은 일반적으로 담낭 벽이 두꺼워지고 섬유화가 진행된 상태로 나타나며, 급성 담낭염은 담낭 벽의 부종과 염증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수술 중 육안으로 관찰한 급성 담낭염의 소견은 염증이 심하고 담낭이 부어오른 상태로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촬영 영상에서 만성 담낭염으로 보였던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촬영상으로는 만성 담낭염과 유사하면서 육안으로는 급성 담낭염과 유사한 질환으로는 담낭벽 비후, 담낭 수종, 담낭 농양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술 후 병리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염증의 정도와 유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촬영상의 결과와 실제 수술 소견이 다른 경우가 있다면, 이는 다양한 내과적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적인 검사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진단받은 병원을 통해 상담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전문의와의 상담도 고려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차 병원에서는 초음파, CT판독 결과 만성 담낭염 진단을 내렸습니다. 2차 병원에서는 담낭 절제술을 진행하였고 복강경 수술 결과 임시로 급성 담낭염 진단서를 주셨습니다. 3일 차이로 진단이 다른데 초음파 및 CT 촬영시 만성 담낭염이 었던 담낭이 육안으로는 급성 담날염이 될 수 있나요? 둘 모두 혈액검사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동일한 초음파, CT 자료를 제출하였습니다.
급성담낭염.만성담낭염 차이가 뭔가요?
급성 담낭염과 비후성 담낭염 초기는 육안으로 유사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