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 잠복기 중 검사 결과는 어떻게 나오나요?
헤르페스,매독, 곤지름등 잠복기가 긴 애들은 잠복기 기간에 검사 시 양성으로 나오나요?? 작년 3월 불안한 관계 후 현재까지 피검사와 Std 검사를 꾸준히 하고 있는데 계속 음성입니다.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헤르페스,매독,곤지름등 음성이라면 걱정할 필요 없는 걸까요??
헤르페스,매독, 곤지름등 잠복기가 긴 애들은 잠복기 기간에 검사 시 양성으로 나오나요?? 작년 3월 불안한 관계 후 현재까지 피검사와 Std 검사를 꾸준히 하고 있는데 계속 음성입니다.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헤르페스,매독,곤지름등 음성이라면 걱정할 필요 없는 걸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입니다. 성병의 잠복기 동안 검사 결과는 질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병의 잠복기에는 병원체가 체내에 존재하더라도 검사에서 감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검사 방법과 병원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헤르페스: 헤르페스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잠복기 동안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로 항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초기 감염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약 4주 이후에 검사를 받는 것이 정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이 없고 검사 결과가 지속적으로 음성이라면 현재로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매독: 매독은 혈액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며, 감염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몇 주가 걸릴 수 있습니다. 매독의 경우 약 12주 뒤에 검사를 받는 것이 정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음성이라면 매독 감염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3. 곤지름(HPV): 곤지름은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잠복기가 길 수 있습니다. HPV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검사가 어렵습니다. 곤지름은 육안 검사로 확인할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현재로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작년 3월 이후로 꾸준히 검사를 받으셨고, 1년 이상 음성 결과가 나왔다면 현재로서는 성병 감염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다만, 성병은 증상이 나타날 때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시고, 불안한 관계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성병 검사는 정기적으로 받으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