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K 수치 상승 시 근전도 검사 필요할까요?
CPK수치가 1600인데 딱히 증상은 없습니다. 신장과 류마내과에서는 딱히 증상발현이 없어 피검사만 한상태입니다. 신경과에가서 선제적으로 근전도 검사를 하는게 필요할까요?
CPK수치가 1600인데 딱히 증상은 없습니다. 신장과 류마내과에서는 딱히 증상발현이 없어 피검사만 한상태입니다. 신경과에가서 선제적으로 근전도 검사를 하는게 필요할까요?
AD
CPK(Creatine Phosphokinase) 수치가 1600으로 상승한 상태라면, 이는 근육 손상, 염증,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더라도 CPK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한 경우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과에서 근전도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근육 또는 신경 관련 질환을 배제하거나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근육 약화, 경련, 통증 등의 증상이 없더라도 CPK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된다면 근전도 검사를 포함한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는 신경과를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근전도 검사를 포함한 추가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CPK 상승의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검사 결과와 관련된 약물 복용이나 치료 계획은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건강검진결과에 CPK(크레아틴인산효소) 수치가 증가했다고 재검사하라고 하는데 제가 160으로 나왔는데 당장 재검사가 필요한 정도인걸까요? 한다면 어느 진료과 병원으로 가야할까요?
2022.5월에 케틀벨들고 스쿼트 한 뒤에 cpk수치, 간수치가 높아 종합병원 신장내과에 5일정도 입원했습니다. 2022.10월에 입대를 했고 입대 전에 헬스도 하고 피검사 받았을 땐 간수치가 정상이었습니다. 2022.11월중순에 물보급이 되지 않은 상태로 땀을 너무 많이 흘리는 행군을 하고 훈련소 병원 응급실에서 cpk수치3900 간수치모두 상승했습니다. 3일뒤에 cpk 200 간수치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2022.12.23일 피검사결과 cpk3000넘고 간수치도 정상보다 높았고 2022.12.26일역시 cpk수치 3000넘고 간수치는 12.23일보다 올라갔습니다. 횡문근융해증 재발을 찾아봐도 잘 나오지 않는데 혹시 근육병때문에 cpk수치랑 간수치가 올라가는 걸까요? 걱정이 많이 됩니다...
지난주 금요일 팔이 부어 올라서 응급실 방문 했더니 cpk 수치가 3300 으로 횡문근 융해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토요일 오후 피검사 결과 cpk수치가 2200 그리고 화요일 피검사 cpk 수치가 600대 까지 떨어졌습니다 걷거나 이런 가벼운 운동은 언제 부터 시작해도 될까요? 이번주까진 모든 운동을 쉬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