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재치료 후 내시경 꼭 필요한가요?
헬리코박터균 1차 실패 2차 약 다시 먹어여한다고 하는데 다시 확인할때 꼭 위내시경 받아야하나요? 다른방법으로 검사 안되나요?
헬리코박터균 1차 실패 2차 약 다시 먹어여한다고 하는데 다시 확인할때 꼭 위내시경 받아야하나요? 다른방법으로 검사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내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헬리코박터균 2차 치료 후 제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꼭 위내시경을 받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요소호기 검사(Urea Breath Test)라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도 제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소호기 검사는 공복 상태에서 특정 물질을 마신 후 호흡을 통해 헬리코박터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위내시경처럼 불편함이 적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균 치료 완료 후 4주 이상 지난 시점에 검사를 받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전 2주 동안은 항생제나 위산 억제제(PPI) 복용을 중단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요소호기 검사는 내과나 소화기내과에서 받으실 수 있으니,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 방법을 선택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건강검진할때 내시경 받았는데, 헬리코박터균도 있고 위궤양도 있어서 헬리코박터 제균후 위궤양 치료제 복용중인데요. 두달 복용후 한달뒤에 내시경을 다시 해서 치료가 되었는지 보자고 하십니다. 두달치 복용이 끝나면 한달동안은 약을 안먹는데요. 이때에는 알마겔같은 위보호용 약을 먹으면 안되는건가요? 왜 한달의 유예기간이 필요한건지도 궁금합니다.
위 내시경 외에 헬리코박터 감염검사는 없나요?
위내시경 검사에서 헬리코박터 감염검사를 못했는데요 내시경 외에 다른 검사방법은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