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 후 헬리코박터 감염검사 불가, 대체 검사 방법은?
위내시경 검사에서 헬리코박터 감염검사를 못했는데요 내시경 외에 다른 검사방법은 없나요?
위내시경 검사에서 헬리코박터 감염검사를 못했는데요 내시경 외에 다른 검사방법은 없나요?
위 내시경 검사 중 헬리코박터 균 검사를 하지 못했다면, 다른 방법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내시경 외에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체 검사 방법이 있는데요, 요소호기검사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생성하는 효소인 우레아제를 이용한 검사로,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습니다. 또한 대변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항원을 검출하는 대변항원검사도 비교적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입니다. 혈액검사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체를 확인하는 방법이지만, 과거 감염 여부도 확인될 수 있어 현재 감염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요소호기검사와 대변항원검사가 현재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더 유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병원이나 클리닉에서 상담 후 적절한 검사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위 내시경 외에 헬리코박터 감염검사는 없나요?
통상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는 2년주기로 받는게 적당하고 좋다고 알고있습니다. 2년전 위내시경 검사 결과가 아무 문제없이 깨끗하다는 소견을 (일반인 수준의 염증이 있는것 제외하고는) 얻었다면 2년후 위내시경 검사에서 갑자기 위암일 가능성은 적죠?
안녕하세요. 아빠가 이번년 5월에 위내시경 검사 받았는데 장상피화생 나왔습니다. 아빠가 헬리코박터 균도 있으세요. 현재 한 1-2일간 딸국질이 계속 되는데 혹시 이건 어떤 질환의 증상일까요? 또한 위내시경도 2년에 한번 받았는데 장상피화생 나와서 혹시 위내시경 검진주기를 짧게 받아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