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월 아기, 성장동영상 시청이 미디어노출인가요?
14개월21일아기입니다. 밥을잘멉지않아서 장난감으로 유도시키기도하고 돌잔치때 썼던 성장동영상을 자주보여줬습니다.그외에 보여준영상은 없고 성장동영상 영상만보여줬는데 그 영상보며 신기하게도 밥도잘먹고 약도잘먹고 양치도잘합니다. 영상은 2분41초이고 하루기준으로 많을땐20분 적게는10분정도 보여준거같습니다.이것도미디어노출인가요
14개월21일아기입니다. 밥을잘멉지않아서 장난감으로 유도시키기도하고 돌잔치때 썼던 성장동영상을 자주보여줬습니다.그외에 보여준영상은 없고 성장동영상 영상만보여줬는데 그 영상보며 신기하게도 밥도잘먹고 약도잘먹고 양치도잘합니다. 영상은 2분41초이고 하루기준으로 많을땐20분 적게는10분정도 보여준거같습니다.이것도미디어노출인가요
네, 성장동영상을 보여주는 것도 미디어 노출에 해당합니다. 아기가 영상을 보면서 밥을 잘 먹고, 약을 잘 먹고, 양치를 잘하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미디어 노출은 가능한 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뇌 발달과 관련하여, 미디어 노출은 후두엽만 자극되기 때문에 두뇌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어요. 만 2세 이전까지는 미디어를 노출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나 노출이 불가피 했다면 일 최대 2시간을 넘지 않게 짧은 시간 동안 보여 주는 것은 괜찮을 것 같아요. 하루에 20분에서 10분 정도의 영상 시청은 비교적 짧은 시간이지만, 아기의 일상에서 다른 활동들을 통해 식사나 양치질을 유도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식사 시간에 아기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서 식사를 유도하거나, 가족 구성원이 함께 식사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식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양치질을 할 때는 아기가 좋아하는 노래를 부르거나, 양치질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만들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기의 발달에 있어서 실제 상호작용과 놀이는 미디어 노출보다 훨씬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아기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고, 다양한 놀이와 활동을 통해 아기의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야한 동영상 시청을 안하고 자위행위도 뒤따라 안했습니다. 자위를 하더라도 상상으로만 자위를 했는데요. 야한 동영상이 뇌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아기 숨소리가 이상한데 봐주세요 하루에 10번이상 이런소리를 내는데 괜찮을땐 괜찮다가 이런소리 나는거 괜찮을까요? 동영상첨부가 안되네요 수영장에서 물먹거나 숨차면 들숨을 커억커억하듯이 코로들이마시는숨이 너무 숨가빠하고 물먹으면 어푸어푸 하듯이 ㅜ뭐라표현이 안되네요...동영상보여줄방법이 없나요
11개월아기 평소에 움찔움찔하는 제스쳐를 취해요 처음엔 오줌을 싸나했는데 오줌도 아니고 자꾸 움찔움찔 짧게 몸에 힘주네요 동영상찍을 찰나도 없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