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검출 후 포진이 없을 때 성관계를 가질 경우, 전염 확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균검사 결과에서 헤르페스가 검출 됐는데 포진은 없었을 때 관계를 해도 전염될 확률이 높은가요 ?
균검사 결과에서 헤르페스가 검출 됐는데 포진은 없었을 때 관계를 해도 전염될 확률이 높은가요 ?
질문자님,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해 걱정하시는 것 같아요. 헤르페스는 포진이 없어도 전파될 수 있어요. 피부나 점막이 접촉될 때, 특히 입술이나 성기 등에서는 전파 가능성이 더 커요.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헤르페스는 수포가 생긴 경우에 가장 전파력이 강하지만,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성 접촉을 통해 50~70%의 확률로 전파될 수 있어요. 그래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아요. 라텍스 콘돔을 꾸준히 사용하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요. 성병 진단 후 치료를 시작하면,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성관계를 자제하는 것이 성병 전파를 막는 데 필요해요. 성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거나 안전하지 않은 성행위를 한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아요. 요약하면, 헤르페스는 포진이 없어도 전파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성병 예방을 위해 라텍스 콘돔을 꾸준히 사용하고, 성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헤르페스 2형 확진 후 3일째 약 복용 중입니다 다른 글에서는 약 복용 후 관계에 대한 기준이 증상이 없을 때, 바이러스 검출이 되지 않을 때 라고 봤는데요. 약 복용이 끝난 후 또 검사를 받으러 가야하는건가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다는게 가능한가요? 또 증상이 없을 때 관계를 하면 전염 확률이 어느정도 될까요 앞으로 미래에 대해서 너무 무섭습니다
소변 pcr 검사를 받고 헤르페스 2형진단을 받았고요 약먹고 다시 검사해서 검출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포진같은거는 나타나지 않았고, 습진 정도만 나타나서 소변검사했는데 나왔었던 거거든요. 의사분도 습진이라고 했어요. 그러면 저는 포진이 요도에만 나는 건가요? 지금과 같이 pcr 검출이 안될때는 콘돔끼고 관계를 하면 전염이 안될확률이 높은지 궁금해요
헤르페스1형 성기감염이 되었는데 입에는 증상이 없고 성기에만 포진이 생겼어요 그러면 앞으로 성관계를 할 때 성기로만 전염이 되는건가요? 입에는 증상이 없는데 입으로도 전염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