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검사 후 약 복용 후 다시 검사했을 때 검출 안됐는데 전염 가능성 있을까요?
소변 pcr 검사를 받고 헤르페스 2형진단을 받았고요 약먹고 다시 검사해서 검출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포진같은거는 나타나지 않았고, 습진 정도만 나타나서 소변검사했는데 나왔었던 거거든요. 의사분도 습진이라고 했어요. 그러면 저는 포진이 요도에만 나는 건가요? 지금과 같이 pcr 검출이 안될때는 콘돔끼고 관계를 하면 전염이 안될확률이 높은지 궁금해요
소변 pcr 검사를 받고 헤르페스 2형진단을 받았고요 약먹고 다시 검사해서 검출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포진같은거는 나타나지 않았고, 습진 정도만 나타나서 소변검사했는데 나왔었던 거거든요. 의사분도 습진이라고 했어요. 그러면 저는 포진이 요도에만 나는 건가요? 지금과 같이 pcr 검출이 안될때는 콘돔끼고 관계를 하면 전염이 안될확률이 높은지 궁금해요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감염을 일으키며, 헤르페스 단순 바이러스 2형(HSV-2)은 주로 생식기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소변 PCR 검사를 통해 HSV-2가 검출되었다면, 이는 생식기 헤르페스 감염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물 치료 후 재검사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그 시점에서는 바이러스의 활동이 억제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신경 세포에 잠복하여 활동을 멈출 수 있으며, 면역 체계의 변화, 스트레스, 다른 질병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증상이 없는 기간에도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전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전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콘돔이 커버하지 않는 피부 부위를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100% 안전하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돔 사용은 전염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습진이 나타났다고 하셨는데, 습진 자체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과는 다른 질환입니다. 요도에 포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증상이 없고 PCR 검사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잠복 감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파트너에게도 헤르페스 감염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필요한 경우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헤르페스 2형 확진 후 3일째 약 복용 중입니다 다른 글에서는 약 복용 후 관계에 대한 기준이 증상이 없을 때, 바이러스 검출이 되지 않을 때 라고 봤는데요. 약 복용이 끝난 후 또 검사를 받으러 가야하는건가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다는게 가능한가요? 또 증상이 없을 때 관계를 하면 전염 확률이 어느정도 될까요 앞으로 미래에 대해서 너무 무섭습니다
균검사 결과에서 헤르페스가 검출 됐는데 포진은 없었을 때 관계를 해도 전염될 확률이 높은가요 ?
헤르페스는 3년전에 걸리고 발병되지 않았어요 요즘 질염때매 성병검사를 했는데 가드넬라와 헤르페스가 검출되었어요 증상은 가렵고 배뇨감이 있어요 수포는 없어요 1. 전 보균자니까 치료를 따로 안해도 될까요? 2. 아님 치료하고 다시 성병검사를 해야될까요? 3. 헤르페스가 치료가 되었다면 보균자여도 성병검사에 검출이 되지 않을까요? 4. 헤르페스 약보다는 질염약을 먹는게 나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