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름 양성 후 전기소작 및 가다실 접종, 남자친구는 무증상이면 언제쯤 낫나요? 관계 가능한 시기는?
저와 남자친구 둘다 곤지름 양성 받았고 저는 증상이 있어 전기소작 후 가다실 접종했고 남자친구는 무증상이라 병원에서 약먹으면 한달이면 다 낫는다했다는데 남자쪽은 원래 빨리 낫는건가요? 둘다 양성이면 관계는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저와 남자친구 둘다 곤지름 양성 받았고 저는 증상이 있어 전기소작 후 가다실 접종했고 남자친구는 무증상이라 병원에서 약먹으면 한달이면 다 낫는다했다는데 남자쪽은 원래 빨리 낫는건가요? 둘다 양성이면 관계는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AD
곤지름은 인체유두종 바이러스 HPV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위험군 질환을 의미해요. 증상이 있는 경우 전기소작과 같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억제하여 자연스럽게 회복될 수 있습니다. 가다실 접종은 HP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으로, 이미 감염된 경우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직접적인 효과는 없지만, 다른 유형의 HPV 감염 예방 및 재감염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남자친구가 무증상이라도 HPV 감염이 있을 수 있으며, 감염이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습니다. 남자친구가 무증상이라도 바이러스가 몸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한 달이면 낫는다고 한 것은 증상이 없는 경우 바이러스가 자연스럽게 몸에서 제거될 수 있는 평균적인 기간을 의미할 수 있지만, 개인의 면역 상태나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성관계를 재개하는 시기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고 치료 부위가 완전히 치유된 후에 성관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양쪽 모두 HPV 감염이 완전히 사라졌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사와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성관계를 재개하기 전에는 의사와 상담하여 감염 상태를 확인하고, 안전한 시기에 대한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성관계를 재개할 때는 콘돔과 같은 보호 장치를 사용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성 성병은 완치가 없기 때문에 결국은 조심하면서 살아가는 방법 밖에는 없으며 평생 성관계를 안할 수는 없으니 성기사마귀가 확실하게 없으면 전파력은 거의 없는 편이므로 조심스럽게 성관계를 하셔도 될 것으로 보여요.
꼭 확인해주세요.
남자 HPV 11번 양성 곤지름 제거후, 가다실 3차까지 접종 완료하였고 7개월간 곤지름 재발은 없습니다. 곤지름을 발견한 시점에서 마지막 성관계는 1년 전이었고, 언제부터 있었는진 모르겠습니다. 현재 여자친구는 절 만나기 전에 성경험이 없을때 가다실 접종을 했었고, 제가 양성이 나오고 검사 했을때 여자친구는 음성이 나왔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제가 여자친구에게 HPV 11번을 옮길 확률이 많을까요? 거의 무조건 콘돔을 사용하긴 하는데, 한번씩 성기끼리의 접촉은 있습니다. 서로 가다실 접종을 완료 했더라도 콘돔 없이는 전파의 위험이 클까요?
남자 항문 곤지름 전기소작 후 질문입니다. 9.14일 곤지름이 재발해서 전기소작했는데 현재까지 항문 주변이 간지럽네요 재발했나 하고 봐도 올라온건 없어보이는데
가다실 9을 제가 청소년기에 다 접종했고, 남자친구도 저랑 첫 관계라면 곤지름이 생길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