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정체성에 대한 고민, 우울증 증상일까요?
제 자신이 낯선 느낌이 듭니다. 스스로가 타인 같고 위화감이 듭니다. 의욕이 떨어지고 불면증이 생겼습니다. 식욕, 흥미가 당기는 게 없습니다.
제 자신이 낯선 느낌이 듭니다. 스스로가 타인 같고 위화감이 듭니다. 의욕이 떨어지고 불면증이 생겼습니다. 식욕, 흥미가 당기는 게 없습니다.
자아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낯선 느낌, 타인처럼 느껴지는 위화감, 의욕 감소, 불면증, 식욕 및 흥미 상실 등은 우울증의 증상이 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다양한 심리적, 정서적 증상을 포함하며, 개인에 따라 증상의 종류나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심리상담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가까운 지인이나 가족과도 솔직한 대화를 나누어 지지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또한, 불면증에 대해서는 평소 잠을 잘 자야만 한다는 강박을 내려놓고, 건강한 식습관과 가벼운 운동, 자기 전 따뜻한 차 마시기, 잠이 오지 않아도 불 끄고 눈 감고 있기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래 수면장애를 앓아 온 사람의 경우 여러가지 노력을 기울인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수 있으니, 이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우울증 증상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증상 : 우울증, 공황, 불안, 수면장애, 불면, 스트레스 충동 현상태 : 전에 병원 검사로는 우울증과 성인ADHD로 나왔으며 불안장애, 충동조절장애가 있다고 함. 가끔 공황이 오며 불안장애, 스트레스 두통이 잦으며, 우울증이 몹시 심각하여 자해 등으로 응급실도 감, 정신병원에 가서 2주동안 치료도 받았으며 그 후로도 달마다 1-2번씩 자해를 함. 병원을 다닐 때도 약이 부족하여 계속 조정을 하다가 시간이 도저히 안나서 복용을 못하다가 안되겠어서 비대면으로 비슷한 약을 처방받아 복용 중 병원 두군데를 번갈아가며 복용하는데 약이 부족하다 말한 상태 1)은 그냥 계속 같은 약을 처방해주는 대신 야간까지 진료가 가능 2)는 상태에 맞게 약을 조정해주는 대신 병원 평소 근무 시간에만 진료가 가능 병원 정착을 하고 싶는데 어느 병원의 약이 더 맞을까요?
우울증은 우울증 증상이 계속 지속되어야만 우울증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