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복용 후에도 열이 내리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오늘 아침에 일어나고부터 몸에 근육통이 너무 심하고 37.6으로 미열이 나길래 밥먹고 진통제가 들어가있는 감기약을 먹었는데도 시간이 갈수록 37.7 37.8 이런식으로 열이 올라가기만 하고 방금 일어나서 빨래하고 누워서 열을 재보니 38도가 넘어가는데 약을 먹어도 열이 가라앉지를 않네요 이거 왜이런가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학생인데 아직 고열이 아니라 응급실도 못가겠어요ㅠㅠ
오늘 아침에 일어나고부터 몸에 근육통이 너무 심하고 37.6으로 미열이 나길래 밥먹고 진통제가 들어가있는 감기약을 먹었는데도 시간이 갈수록 37.7 37.8 이런식으로 열이 올라가기만 하고 방금 일어나서 빨래하고 누워서 열을 재보니 38도가 넘어가는데 약을 먹어도 열이 가라앉지를 않네요 이거 왜이런가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학생인데 아직 고열이 아니라 응급실도 못가겠어요ㅠㅠ
현재 증상으로 보아 감기나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열이 계속 오르고 진통제나 감기약으로도 열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몇 가지 조치를 취해보실 수 있습니다. 1. 충분한 수분 섭취: 물이나 이온음료를 자주 마셔 체내 수분을 유지하세요. 옆에 물이랑 이온음료를 두고 젖은 수건을 방에 열어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휴식: 몸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말고 충분히 쉬세요. 면역력이 저하되어 몸이 휴식을 취해달라고 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3. 해열제 복용: 이미 복용한 약의 성분을 확인하고, 추가로 해열제를 복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타이레놀과 이부프로펜 성분의 약을 2-3시간 간격으로 교차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4. 체온 조절: 옷을 가볍게 입고, 방을 시원하게 유지하세요. 만약 열이 계속해서 38도 이상으로 유지되거나 다른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학생이라도 건강이 우선이니, 필요시에는 응급실 방문을 고려해보세요. 해열제와 항생제를 복용하시며 경과를 관찰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수액치료를 받으신다면 증상회복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제 14시부터 40도까지 열이 오르내리고 있으며, 17시 병원에서 열감기 진단 받고 해열제(맥시부펜)과 코감기약(코미시럽) 복용 중입니다. 오늘 15시 40분 해열제 투약 후 열이 내리지 않아 19시 타이레놀 교차 복용하였으나 20시25분까지 39.7도에서 열이 내려가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 낮까지는 컨디션 나쁘지는 않았으며, 현재 뒤척이며 잠을 잤다 깼다 하는 상황입니다. 계속 열이 내리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응급실에 간다면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감기약을 너무 많이 복용해서 39도 열이있어요? 해열제는 모르틴/ 타이레놀 교차복용했는데 열이 안내려요(2일)
6개월 아기입니다. 어제 저녁 8시 30분부터 미열이 있더니 9시 30분에 38도가 넘어갔어요. 10시에 38.5도가 넘어가서 아세트아미노펜 내린다 2.5ml를 먹였고 잠시 열이 내려가는 듯 했는데 현재 새벽4시 38.0도가 넘었어요. 물수건을 해주고 있는 상태인데도 안내려가고 손발은 차갑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