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계 검사 중 심박변이도 검사는 심박수 측정처럼 워치나 이런 기기로는 불가능한 이유가 뭘까요?
자율신경계 검사 중 심박변이도 검사는 는 심박수 측정처럼 워치나 이런 기기로는 불가능한 이유가 뭘까요?
자율신경계 검사 중 심박변이도 검사는 는 심박수 측정처럼 워치나 이런 기기로는 불가능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검사는 심장 박동 간격의 변화를 측정하여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단순히 심박수(Heart Rate, HR)를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밀한 데이터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워치나 일반적인 웨어러블 기기들은 주로 심박수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심장이 한 번 뛸 때마다의 간격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반면, HRV는 각 심장 박동 간격의 미세한 차이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더 고도의 기술과 정밀한 센서가 필요합니다.
웨어러블 기기의 센서는 주로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혈류의 변화를 통해 심박수를 추정합니다. 이 방법은 HRV를 측정하기에는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HRV 측정은 심전도(ECG)나 흉부 스트랩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더 정밀한 방법을 요구하며, 이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직접 측정하여 더 정확한 심장 박동 간격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일부 고급 웨어러블 기기들이 HRV 측정 기능을 탑재하기 시작했지만, 이러한 기기들도 임상적인 HRV 측정 장비만큼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율신경계의 정밀한 평가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의료 장비를 사용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는 몸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한 검사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요즘 진짜 속이 미칠듯이 울렁거려요.. 그리고 애플워치 기준으로 가만히 쉬고있어도 심박수가 110 막 이러는데 왜그런거죠..? 속이 정말 토할듯이 울렁거려요..
갤럭시 워치 등으로 측정한 심박수도 정확하다고 할 수 있나요?
갤럭시 워치 심전도에서 판정불가 판정이 나왔고 그 이유는 심방세동 이외의 다른 불규칙 심장리듬 증상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오늘은 잠들은지 2시간만에 깸) 평균심박수 75bpm의 심전도 결과는 자다 깼을 때 앉아서 측정한 결과입니다. 또한 어제 오늘 수면중 심박수가 최대가 90으로 평소보다 높게 나옵니다. 8/9에 갤럭시워치에서 심방세동 결과가 11시(흉통 있음), 14시경 나와서 16시쯤 응급실 내원해서 교수님께 보여드리니 심방세동 아닌 것 같다고 하셨고 검사 결과도 정상이었습니다. 약 한달전 약한 흉통이 있어 관상동맥CT, 심장초음파, 24시간 홀터검사에서도 이상 없지만 엑스레이상에서 심장이 일반인보다 크다고 이야기 들었고 피검사에서 콜레스테롤이 높아 리피토정과 고덱스캡슐 처방받았습니다. 체중이 높아 현재 감량중이고 시작한지 한달정도 됬습니다. 나이는 01년생이고, 혈압은 23시~2시쯤 측정하면 120~130 정도 나옵니다. 혹시 큰 문제가 있어서 나오는 결과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