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검사에서 혈뇨와 RBC 10-19 위험한가요?
학생때부터 소변검사하면 혈뇨가있다했습니다 그 이후로 별거 아니라고 지냈고 최근에 소변검사를했는데 또 혈뇨가 있다 나왔어요 추가적인 정밀검사가 필요할까요 RBC 10-19는 위험한건가요
학생때부터 소변검사하면 혈뇨가있다했습니다 그 이후로 별거 아니라고 지냈고 최근에 소변검사를했는데 또 혈뇨가 있다 나왔어요 추가적인 정밀검사가 필요할까요 RBC 10-19는 위험한건가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학생때부터 현재까지 소변 검사 상 혈뇨가 있다고 나와서, 많이 놀라고 걱정되셨겠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소변 중 혈액이 섞여나오는 것은 신장 및 방광을 포함한 요로계의 문제 신호일 수 있으니 비뇨의학과에 내원하여 진료 및 추가적인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첨부해주신 소변검사 결과지를 보니 blood 1 positive, RBC 10-19 로 소변 중 혈액이 검출되고 있는 상황이신데요.
질문자 님께서 여성이시면서 생리 중, 혹은 생리가 끝난 직후라면 소변 검사 결과에서 혈액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만약 여성이면서 생리 중이나 끝난 직후가 아니시거나, 질문자님께서 남성분이시라면 해당 부분에 대해 진료를 본 적이 없고 학생 때부터 현재까지 해당 증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비뇨의학과의 진료가 필요한 소견으로 보여요.
소변 중 혈액이 검출되는 것은 만성적인 신장 문제나 방광이나 요관 등 비뇨기계 질환의 증상일 수 있어요.
시낭 내 미세 손상이 있는 경우, 방광이나 요관, 전립선의 문제로 인해 피가 섞이는 경우, 요로감염, 신장결석, 방광염, 요도염, 방광의 종양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검사 결과지를 갖고 비뇨의학과에 내원하여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리는데요.
진료 후 필요에 따라 소변 재검사, 신장 기능 혈액 검사, 신장 및 방광 초음파, CT 등 여러 검사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경미한 혈뇨는 빠른 치료를 통해 호전될 가능성이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비뇨의학과 진료 후 정밀검사를 통해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경과를 관찰해보시면 좋을 듯해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혈뇨는 중년 남성의 약 30%가 경험하는 증상이지만 그냥 지나쳐서는 안돼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AD
8월 14일 소변검사에서 혈뇨가 나왔습니다. 오늘 재검사인데, 아침까지 약 복용 후 검사 가능할까요? 금식해야 되는지 몰라서 문의드립니다. 왜냐면 오늘 토요일인데 병원 9시반~1시까지 근무기 때문입니다. 소변검사는 금식 안해도 재검사 가능할까요? (수치 참고) WBC 5ㅡ10 RBC 2ㅡ3 Ob+
1년간 매일 지속적으로 현미경적 혈뇨를 보게되고 가끔 육안적 혈뇨를 보게되면 혈소판 수치와 헤모글로빈 그리고 적혈구 수치가 2~3개월만에 수혈이 필요한 만큼 급속히 저하될 수 있나요? 참고로 소변검사 결과 RBC 10~29입니다. 혈뇨 증상과 함께 혈소판 헤모글로빈 적혈구 수치 저하가 동반되는 것과 관련된 질병도 궁금합니다.
혈뇨증상이 있는데 CBC검사에 RBC 수치는 어떻게 나올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