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을 세게 찌었는데 일주일이 지나도 아픕니다, 어떤 약물을 복용해야 할까요?
일주일 전 물구나무를 하려다가 방 모서리에 무릎을 굉장히 세게 찌었습니다. 다음날은 절뚝 거렸고 일주일이 지난 지금도 계단을 내려가거나 뛸 때는 아픕니다. 며칠간 물리치료기도 했습니다. 병원은 안 갔는데 멍은 꽤 들었고 일주일이 지났는데도 아파서 여쭤봅니다. 병원을 갈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여 안 갔습니다. 지금 어떤 약을 먹어야 할까요?
일주일 전 물구나무를 하려다가 방 모서리에 무릎을 굉장히 세게 찌었습니다. 다음날은 절뚝 거렸고 일주일이 지난 지금도 계단을 내려가거나 뛸 때는 아픕니다. 며칠간 물리치료기도 했습니다. 병원은 안 갔는데 멍은 꽤 들었고 일주일이 지났는데도 아파서 여쭤봅니다. 병원을 갈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여 안 갔습니다. 지금 어떤 약을 먹어야 할까요?
무릎을 다치신 지 일주일이 지나도 아프신다면, 더 이상 자가 치료를 하지 마시고 가까운 정형외과에 방문하셔서 검사 및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요. 무릎 부상은 단순 타박상에서부터 인대 손상이나 연골 손상과 같은 심각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정확한 진단 없이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어요. 그러나 병원 방문 전까지 통증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가 있습니다. 이는 이부프로펜(Ibuprofen)이나 나프록센(Naproxen)과 같은 약물을 포함합니다. 이 약들은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위장 장애나 신장 문제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복용 전에 약물에 대한 정보를 잘 읽고, 복용량 지침을 따르거나 약사나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복용 외에도 휴식, 얼음 찜질, 압박, 그리고 무릎을 높이는 것(예: 베개를 사용하여 무릎을 심장보다 높게 유지)과 같은 RICE 원칙(휴식, 얼음, 압박, 고정)을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일주일이 지나도 통증이 지속되고 계단을 내려갈 때나 뛸 때 아픈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저께 일주일 전 힌번 넘어져서 손가락 금가고 어제 좀 세게 머리랑 무릎을 박았는데 무릎이 처음에도 많이 아파서 겨우 일어나고 다음날 되니까 붓고 멍들고 통증이 더 심해졌어요ㅜ 이럴경우는 어떤 증상에 해당될까요?
일주일전 카페에 좁은화장실 휴지걸이에 머리를 세게부딛혔어요.너무아팠지만 피가나거나 하지도않았고 울렁거리거나 메스껍지는 않았지만 몸살기가 심하게 있고열이 났어서 병원가서 몸살약 처방받고 2틀정도 후 괜챦아 졌는데 일주일이 지난 오늘까지도 부딛힌곳이 욱신거리고 아파요ㅜㅜ 약간의 두통이외엔 다른증상은 없고 좀 부은것 같요,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의료계파업으로 큰병원은 진료가 힘들것 같고 무슨과로 가서 진료 받아야 할까요?
어제 무릎을 어떤 기구에 정말 세게 부딪혔습니다 오늘 일어나서 보니 걸을때 욱신거리고 아프고 살짝 부어있는데 멍이 안들어있어서요 이렇게 통증이 있는데 멍이 안들어도 뼈에 금이 갔을 수 있을까요? 겉으로 봐서는 크게 통증이 없을 것 같이 생겼는데 꽤 욱신거려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