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동요 심한 이유와 재수술 가능성?
안녕하세요. 제가 9월 초에 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재건술을 받았습니다. 그 후로 6개월동안 문제가 없다가 어제 수술한지 6개월이 되어 상태를 보려고 병원을 갔더니 무릎 동요가 심하다는 판정읏 받았습니다. 재건술 전에 전외측인대나 후방 십자 인대, 연골에는 문제가 없다고 하셨는데 이런 이유가 뭘까요? 어떤 가능성이 있을까요? 재수숫 할 수도 있나요? 불안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9월 초에 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재건술을 받았습니다. 그 후로 6개월동안 문제가 없다가 어제 수술한지 6개월이 되어 상태를 보려고 병원을 갔더니 무릎 동요가 심하다는 판정읏 받았습니다. 재건술 전에 전외측인대나 후방 십자 인대, 연골에는 문제가 없다고 하셨는데 이런 이유가 뭘까요? 어떤 가능성이 있을까요? 재수숫 할 수도 있나요? 불안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전방십장인대 완전 파열로 수술을 받으셨다니, 많이 걱정되셨겠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만약 동요가 심하고 불안정성이 계속된다면 재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후 별다른 문제가 없다가 최근 무릎 동요가 심하다는 진단을 받았다면 몇 가지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초기 몇 달 동안 근력은 크게 약화될 수 있어요. 특히 대퇴사두근(허벅지 앞쪽 근육)과 햄스트링(허벅지 뒤쪽 근육)의 균형이 중요하며, 근력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으면 무릎 관절이 불안정해지고, 계단을 내려갈 때처럼 체중이 실리는 상황에서 통증과 떨림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식한 인대가 시간이 지나면서 늘어나거나 예상보다 약하게 회복되었을 가능성이 있어요. 특히 재활 과정에서 무리한 움직임이 있었다면 미세한 손상이 누적될 수도 있거든요. 수술 전에는 다른 인대나 연골에 문제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회복 과정에서 보행 습관이나 보조근육의 약화로 인해 추가적인 불안정성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특히 전외측인대가 약해지면 회전 안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근력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거나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 등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무릎이 흔들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근력 강화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해요. 만약 무릎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면 재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추가적인 재활과 근력 강화 운동을 통해 개선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담당 의사와 상담하고 MRI 등 추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우선이예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기보다는 전문적인 진단을 통해 앞으로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 좋겠어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미세먼지가 심한 요즘,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은 어떤 게 있는지 궁금했다면, 읽어보세요.
5.0
2025.03.09
안녕하세요. 제가 9월 초에 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재건술을 받았습니다. 그 후로 6개월동안 문제가 없다가 어제 수술한지 6개월이 되어 상태를 보려고 병원을 갔더니 무릎 동요가 심하다는 판정읏 받았습니다. 재건술 전에 전외측인대나 후방 십자 인대, 연골에는 문제가 없다고 하셨는데 이런 이유가 뭘까요? 어떤 가능성이 있을까요? 재수숫 할 수도 있나요? 불안해서 여쭤봅니다. 이렇게 여쭤봤었는데 결과가 나왔습니다. 무릎에 물이 찼고 부종이 있고 이식건이 intact라고 나왔습니다. 심한 상황일까요?
수고하십니다 73세입니다 직장암 수술한환자입니다 내가옛날(50-60년전)생각은잘나는데(국민학교때배운동요는95%이상가사가생가나서걷기운동하면서동요를흘얼거리며운동함.),그런데지금은뒤돌아서면바로잊어버립니다.혹시,치매증상인가요?
부모님이 무릎통증이심해 mri를찍었는데 무릎에 뼈멍이들고 안쪽무릎이찢어져서 수술치료를권했는데 무조건수술해야되나요? 무릎뼈멍은 깁스를 꼭해야낫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