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와 접촉 후 전염 가능성과 대처 방법은?
결핵환자인줄 모르고 두시간가량 옆자리에앉아 대화를 나눴습니다. 전염력이 있을까요? 평범하게 친구들과 식사도하고 회사생활도 하시더라고요. 가족이 결핵환자라 전염되셨다고 하는데.. 일상속에 전염력이 어느정도인지? 두시간 가량 대화를 나눈 후 어떤조치를 취해야할까요ㅠ
결핵환자인줄 모르고 두시간가량 옆자리에앉아 대화를 나눴습니다. 전염력이 있을까요? 평범하게 친구들과 식사도하고 회사생활도 하시더라고요. 가족이 결핵환자라 전염되셨다고 하는데.. 일상속에 전염력이 어느정도인지? 두시간 가량 대화를 나눈 후 어떤조치를 취해야할까요ㅠ
AD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결핵 환자가 기침, 재촬영, 말하기, 웃기 등을 할 때 공기 중으로 결핵균이 배출되어 주변 사람들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두 시간 가량 결핵 환자와 밀접하게 대화를 나눴다면, 전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결핵 환자가 전염성이 있는 것은 아니며, 활동성 결핵 환자가 주로 전염성이 있습니다. 환자가 치료를 받고 있고 질병이 활동적이지 않다면 전염 위험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전염 가능성이 걱정된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핵 검사: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하여 결핵 검사를 받으세요. 피부 검사나 혈액 검사, 그리고 필요한 경우 가래 검사나 흉부 X-레이 검사를 통해 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몇 주에서 몇 달 동안 결핵의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결핵의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기침, 체중 감소, 발열, 식은땀 등이 있습니다.
개인 위생 실천: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나 팔꿈치 안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이 좋습니다.
밀접 접촉자 정보 공유: 결핵 환자와의 접촉 사실을 가족이나 동거인, 밀접한 동료들과 공유하여 그들도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세요.
결핵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될 수 있는 질병입니다. 하지만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위의 조치를 취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개인의 면역력에 따라 전염성 있는 환자와 접촉한다고 해서 무조건 전염되지는 않지만, 주의가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결핵환자와 오늘 대화를 나눴는데 검사는 몇일후에 받으면될까요? 검사는 어떤 검사가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결핵환자의 경우 주변에 알리지않으면 알방법이 없는데 결핵환자들이 밝히지않은채 일상생활을 하는데 언제 전염이 될지 모르는 상황에 건강한사람이 미리 예방접종이나 대책은 없나요?
성병 환자의 피부발진을 손으로 만지거나 접촉했을때 전염될 가능성이 있나요? 성병은 무조건 성접촉을 해야 전염되는건가요? 변기 공유나 일상적인 환부 접촉도 전염될 가능성이 있나 해서요
오늘 옴 증상이 의심되는 할머니와 반나절 접촉했습니다. 저희 할머니는 요양병원에 계십니다. 투석으로 인한 소양감인지 옴인지 의심이 되는 상황에 피부과에 방문 했는데 이미 항생제를 드시고 계셔서 항생제를 더 맞을수 없는 관계로 치료차 옴 약을 처방받아 먹어보자고 의사가 말했는데.. 옆에서 자꾸 긁고 한 의자를 공유했고 정말 찝찝한 상황입니다... 전염이 너무너무 걱정되는데 이 증상이 옴 일까요? 제가 전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집가서 옷 세탁 바로 하고 씻을거긴 한데 미리 항생제를 복용한다던지 하면 도움이 될까요? 도와주세요.. 자꾸 긁으세요 옆에서 돌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