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 진단을 위해 이비인후과와 신경과 중 어디를 가야 하나요?
이명증상이 있는데 알아본 결과 이명은 증상이 여러가지 이유로 이명 증상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비인후과 가서 이명 증상 테스르를 하면 귀에 문제로 인해 이명인지 알 수 있는 걸까요? 아니면 신경과를 가서 상담하에 MRI 찍은게 맞는 걸까요 ??
이명증상이 있는데 알아본 결과 이명은 증상이 여러가지 이유로 이명 증상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비인후과 가서 이명 증상 테스르를 하면 귀에 문제로 인해 이명인지 알 수 있는 걸까요? 아니면 신경과를 가서 상담하에 MRI 찍은게 맞는 걸까요 ??
AD
이명 증상으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명 증상이 있을 때는 먼저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비인후과에서는 순음 청력 검사, 이명도 검사 등의 청력 검사와 귀 내부를 살펴보는 이경 검사 등을 통해 귀에서 발생하는 이명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명은 다양한 원인(소음 노출, 스트레스, 피로, 혈관 이상, 난청, 중이염, 메니에르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원인 파악이 중요합니다. 이비인후과 검사 후에도 원인이 명확하지 않거나, 이명과 함께 수면 장애나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신경과 진료를 통해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경과에서는 필요에 따라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청신경이나 뇌 부위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이명 환자에게 MRI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의사의 진찰 결과에 따라 검사 여부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명 증상이 있을 때는 우선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기본적인 검사를 받고, 의사의 판단에 따라 추가 검사나 다른 과의 협진을 받는 것이 적절한 접근 방법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외이도염 진료 후 지속되는 두통 신경과 진료를 따로 받아봐야 할까요? 초반 외이도염처럼 귀 통증과 두통이 있어 이비인후과 진료 후 이틀째 처방약을 먹고 있으나 두통은 전혀 호전이 없습니다 귀는 통증도 없이 멀쩡한데 삼일 내내 오른쪽 머리 윗부분 특정 한 곳이 지속적으로 콕콕 찌르듯 쑤시고 아파서 잠도 못잘 지경이예요.. 이비인후과 재진료를 받아야 하나요 아니면 신경과를 가봐야 하나요?
요약: 3일 전 기립성저혈압 때문에 기절해 바닥에 머리를 부딪혔다가 회복 중인데, 침대에 누울 때만 시야가 회전하듯이 어지럽습니다. 신경과, 이비인후과 중 뭐가 먼저인가요? 월요일 저녁에 침대에 누워있다가 벌떡 일어나 걸어간 후 기절하며 머리를 부딪혔습니다. 기절 직전까지 기억이 선명하고 십여초만에 깨어났으며 화요일 아침에도 공복이라 속이 울렁거리는 것 외에는 증상이 없었기에 종합병원 신경과에서 기립성저혈압인 것 같다고 진단해주셨고, 머리의 통증도 부딪힌 뒤통수를 누를 때만 아프지 평소에는 전혀 아프지 않고 대화나 일상생활도 아주 멀쩡히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요일 오전부터(기절 후 40시간쯤 뒤) 걷거나 앉아있을 땐 여전히 괜찮은데 눕는 중이나 눕고 나서 웅크릴 때 천장이 살짝 회전하는 듯한 어지럼증이 있네요. 찾아보니 이석증과도 유사한데, 타지역에 가야해서 원래 진료받았던 병원에는 못 가기 때문에 이비인후과로 갈지 신경과로 갈지 고민이 됩니다. 어떤 병원에 먼저 가야할까요?
눈 아래 염증(안와 염증) 인 경우 이비인후과와 안과중 어디를 방문해야 하나요? 몇일전에는 콧물증상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