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이 내린 후 아이 두통, 해열제 복용이 필요할까요?
만5세 아이 열이 떨어진후 두통이 있다고합니다 주로 뛰거나 격하게 놀때 그러는거 같아요 심하게 아픈거는 아닌거 같은데 해열제 같은걸 먹여보면서 조금더 지켜봐야할까요?
만5세 아이 열이 떨어진후 두통이 있다고합니다 주로 뛰거나 격하게 놀때 그러는거 같아요 심하게 아픈거는 아닌거 같은데 해열제 같은걸 먹여보면서 조금더 지켜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말씀해주신 상황만 보면 크게 급한 건 아닌 것처럼 들리지만, 몇 가지를 체크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아이가 열이 났다가 내려간 뒤에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는 흔히 감기나 바이러스 감염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어요.
열이 떨어지면 몸이 회복 중인데,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라서 뛰거나 심하게 움직일 때 두통이나 피로감을 느낄 수 있거든요.
특히 아이들은 “머리가 아파요”라고 표현하지만 사실은 전신이 피곤하거나 어지러운 걸 두통으로 말하기도 합니다.
만약 아이가 일상적으로 잘 놀고, 식사도 하고, 대화도 잘 하면서 두통이 심하지 않고 잠깐 나타났다 없어지는 정도라면 우선은 해열제까지는 꼭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요.
해열제는 원래 열이나 통증이 심할 때 쓰는 약이니, 아이가 머리 아파서 일상생활이 힘들다거나 잠을 못 잘 정도가 아니면 굳이 먹이지 않고 조금 더 지켜봐도 괜찮습니다.
다만 충분히 쉬게 해주고, 물을 자주 마시게 하는 게 도움이 될거에요.
하지만 두통이 계속 심해진다거나, 구토가 동반된다거나, 빛을 보면 힘들어한다거나,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머리를 아파한다면 꼭 소아과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단순 회복 과정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 아이가 갑자기 힘이 없거나 어지러워하면서 얼굴이 창백해지면 바로 병원에 가셔야 해요.
정리하자면, 지금처럼 심하지 않고 뛰거나 놀 때만 가볍게 두통을 말한다면 우선은 안정을 취하게 하고 경과를 보는 게 좋겠어요.
해열제는 꼭 필요하지 않지만, 아이가 불편해하면 진통 효과 때문에 먹여볼 수는 있습니다.
대신 말씀드린 위험 신호가 보이면 지체하지 말고 진료를 받으시는 게 안전합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소아과 비대면 진료 방법 궁금했다면, 일요일에도 이용 가능한 비대면진료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7개월 아이가 어제밤38.5도 열이 나서 해열제 복용후 오전 10시 소아과 방문당시에 37.2도까지 떨어져습니다. 기침과 노란콧물이 심한편, 열난 최초시점으로 부터 24시간 지켜보라고하는데 오후1시 다시 열이38.4도 입니다.다시 해열제 복용했어요. 24시간 지켜보라는것은 해열제없이 아이혼자힘으로 열을 내려야하는건가요?해열제로 열을 잡는건 의미없는거겠죠?
8세 아이 어제부터 열과 기침증상 어제 해열제먹일때 내렸었는데 오늘은 해열제를 교차복용해도 열이안내리네요.. 평균39.4도 예요 오전에 병원 다녀왔는데 목만 살짝 부었다고해요. 근데 열이 계속나고 아이가 춥다고하는데.. 이럴때 따뜻하게해줘얄지 시원하게해줘야할지요.. 그리고 해열제 교차복용은 2시간마다 번갈아가며 계속 줘도되나요?
만6세 여아 해열제 복용후에도 열이 팍 안내려요. (코로나 자가키트는 음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