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 수치 변동과 검사 정확성에 문제가 있나요?
급성전립선염 psa54 그 이후 추적관찰 33, 13, 6 까지떨어졋습니다 6까지떨어지고 두달흐르고 4.4까지 떨어졋는데 항문이 뻐근해 다른병원가서 수치확인햇더니 6까지 올라 다른병원가서 확인해보니 4점대가 나왓네요 6까지 나온병원은 피검사 후 다른기관으로 보낸다하여 피뽑고 24시간 넘게 병원에 방치된후 다른 기관으로 채혈이 보내졋습니다 정확한 검사가 안되는게 맞나요?
급성전립선염 psa54 그 이후 추적관찰 33, 13, 6 까지떨어졋습니다 6까지떨어지고 두달흐르고 4.4까지 떨어졋는데 항문이 뻐근해 다른병원가서 수치확인햇더니 6까지 올라 다른병원가서 확인해보니 4점대가 나왓네요 6까지 나온병원은 피검사 후 다른기관으로 보낸다하여 피뽑고 24시간 넘게 병원에 방치된후 다른 기관으로 채혈이 보내졋습니다 정확한 검사가 안되는게 맞나요?
AD
질문자님의 PSA 수치 변동과 검사 정확성에 대한 고민이 느껴집니다.
PSA 검사의 경우, 채혈 후 검체 보관 조건과 시간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4시간 이상 방치된 혈액 검체는 검사 결과의 정확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SA 검사는 채혈 후 가능한 빨리 처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PSA 수치는 같은 사람이라도 검사 시점, 검사실 환경, 사용하는 장비와 시약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병원에서 측정한 수치가 다소 차이가 나는 것은 가능한 일입니다.
급성전립선염 후 PSA 수치가 54에서 점차 감소하여 4.4까지 내려간 것은 염증이 호전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다만 항문 뻐근함과 같은 증상이 있으시다면, 주치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장 정확한 PSA 추적을 위해서는 가능하면 동일한 병원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여과율은 정확도가 떨어지나요?? Cr수치는 운동이나 약으로 인해서도 수치 변동이 있는걸로 압니다. 그래서 씨스타틴 검사라는게 정확하다는데 Cr수치와 사구체여과율만으로 신장 건강상태를 파악하는건 정확도가 떨어질까요??
Psa 수치 검사를 받아야하는데 탈모약을 복용중입니다 탈모약이 psa수치를 떨어뜨려서 오진을 할수 있다는데 복용을 중단한 뒤 검사를 해야하나요?
61세 남성, 2014년 부터 전립선 psa수치가 상승하여 전립선조직검사 (2015년 경직장조직검사, 2018년은 mri fusion 조직검사)결과 만성염증이 발견되었습니다. 평소 생활습관은 음주를 자주하는데 전립선psa수치가 하락하다가 음주 후에 psa 수치가 상승하는 것 같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음주가 전립선 psa수치 상승과 관련이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