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염 진단을 받은 아이, 어린이집 등원 가능할까요?
아이가 결막염 진단을 받았는데 어린이집 등원해도 될까요? 어제 눈싸움을 하면서 눈에 눈이 들어갔었는데 그 이후로 눈이 충혈되고 간지럽다고 하더니 결막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전염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이가 결막염 진단을 받았는데 어린이집 등원해도 될까요? 어제 눈싸움을 하면서 눈에 눈이 들어갔었는데 그 이후로 눈이 충혈되고 간지럽다고 하더니 결막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전염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결막염은 통증, 이물감, 눈꼽, 눈물, 가려움증, 충혈,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성 결막염의 경우 전염력이 강해 유행성 결막염이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아이가 결막염 진단을 받았다면, 증상이 있는 기간 동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특히 어린이집과 같은 집단 생활 환경에서는 전염의 위험이 더욱 높기 때문에, 증상이 호전되고 의사의 소견에 따라 전염성이 없다고 판단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원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이의 상태가 호전되면 다시 어린이집에 등원할 수 있도록 하세요. 그리고 아이가 눈을 만진 손으로 다른 물건이나 사람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결막염 진행순서 및 어린이집 등원여부 궁금합니다
어린이집 교사입니다. 저희반 아이가 바이러스성 두드러기라는 소견을 받앗는데 전염성이 있는 질환일까요? 어린이집 등원 가능한가요?
16개월아기인데 어린이집 보낸지 한달되었습니다. 처음에 이틀 등원하고 눈꼽과 감기증상이 생겨 병원을 갔더니 결막염이라고 했습니다. 2주정도 열동반한 감기증상이 있어서 치료후 괜찮아져서 다시 어린이집을 보냈더니 3일만에 또 같은증상으로 눈꼽, 눈물, 감기증상이 있습니다. 3주만에 결막염에 또 걸릴수있는건가요?? 면연력이 약해서 계속 걸리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