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혈 후 피멍이 생기고 안 없어지는 경우, 혈액응고기능 문제인가요?
채혈후 피멍 생기고 안없어 지는데요.. 혈액응고기능 문제 있는거 아닌가요?
채혈후 피멍 생기고 안없어 지는데요.. 혈액응고기능 문제 있는거 아닌가요?
채혈 후 멍이 들었을 때는 주사 바늘이 혈관을 관통하면서 주변 조직에 손상을 주어 혈액이 주변 조직으로 새어 나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멍은 몇 일에서 몇 주 안에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멍이 오래 가거나 쉽게 생기는 경우 혈액 응고 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혈액 응고 기능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의사의 진찰과 함께 혈액 검사를 통해 응고 인자, 혈소판 수치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혈우병이나 폰 빌레브란트 질환 같은 응고 장애, 혹은 혈소판 기능 장애 또는 혈소판 수 감소와 같은 상태가 의심될 수 있습니다. 만약 멍이 자주 생기거나, 멍이 심하게 생기거나, 멍이 오래 지속되거나, 다른 출혈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혈액 희석제나 항응고제를 복용 중이라면 이러한 약물이 멍이 생기기 쉬운 상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멍이 심하게 들거나, 통증이 심하다면 다시 한 번 해당 의료기관에 진료 가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또한, 멍 든 부위가 붓거나 통증이 있다면 찜질을 해주면 회복에 도움 되고 멍크림 등을 약국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여요.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