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꼭지 부근 물혹이 찌릿거림 원인인가요?
젖꼭지 부근이 찌릿 거려서 초음파랑 엑스레이 찍고 나니 물혹 있다 하셔서 6개월 뒤에 다시 오라 하신 상황 입니다 근데 물혹 때문에 찌릿 거릴수 있는건가요? 다시 병원 가봐야 할까요? (전보단 덜 하긴 합니다)
젖꼭지 부근이 찌릿 거려서 초음파랑 엑스레이 찍고 나니 물혹 있다 하셔서 6개월 뒤에 다시 오라 하신 상황 입니다 근데 물혹 때문에 찌릿 거릴수 있는건가요? 다시 병원 가봐야 할까요? (전보단 덜 하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유방에 물혹이 있다고 설명을 들으셨고, 해당 부위에 찌릿한 양상으로 통증이 발생하여 걱정이 되시는 것 같아요.
먼저, 유방의 물혹은 유방 조직 안에 액체가 차 있는 주머니 같은 구조물로, 대체로 여성의 호르몬 변화에 의해 생기는 질환으로 볼 수 있어요.
해당 질환은 생리 주기나 스트레스, 피로 등 일상적인 이유로도 발생할 수 있어요.
유방 물혹이 통증을 유발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낭종이 크기가 있거나 신경이나 주변 조직을 누르게 되면, 찌릿하거나 뻐근함, 무거운 느낌 등 다양한 형태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또 유방은 호르몬 변화에 민감해 생리 주기 전후로 유난히 전기 자극처럼 찌릿한 느낌을 경험하는 분도 있어요.
정기 초음파와 엑스레이 검사 후, 악성 변화 없이 단순 물혹으로 확인되어 6개월 후 다시 오라는 안내를 받으셨으니, 아주 급박한 증상이나 위험 신호는 없다는 의미로 볼 수 있어요.
물혹만으로도 젖꼭지 주변에 찌릿거리거나 불편한 느낌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특히 ‘전보다는 덜하다’면 생리 주기나 자연 호전 등으로 증상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어요.
만약 통증이 갑작스럽게 심해질 경우, 짧은 기간에 혹이 빨리 커지는 경우,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유두가 함몰되는 등의 변화가 생길 경우, 젖꼭지에서 혈액이 섞인 분비물이 나올 경우, 유방 전체나 반대쪽, 겨드랑이까지 통증이 퍼질 경우에는 다시 한번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추가 증상이 없다면, 의료진의 권유대로 6개월 후 다시 검진을 받고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일상에서는 유방 자가 검진을 통해 혹이 커지진 않는지, 피부나 유두에 이상이 없는지 가끔 체크하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또한, 카페인 줄이기, 충분한 수분 섭취, 스트레스 완화 등 생활습관 개선도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앞으로도 정기 검진과 자가 확인을 꾸준히 하시고, 혹시 몸에 새로운 변화가 느껴지는 것 같다면,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유방 섬유선종의 증상, 모양, 원인, 진단, 구별, 치료법에 관해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AD
고등학생인데요. 괜찮다가 젖꼭지가 찌릿 거려요
혈압잴 때 커프 높이가 심장 높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위치가 어디인가요? 젖꼭지 위치에 둬야하는건가요? 듣기로는 겨드랑이와 젖꼭지 사이에 둬야한다고도 하는데 둘의 차이가 심할 땐 10정도 차이가 나서 어느게 더 정확한 지 모르겠습니다. 책상에 그냥 두면 젖꼭지 위치고 책상에 쿠션올려서 재면 겨드랑이와 젖꼭지 사이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커프의 어느 부분이 심장에 가야하는 건가요? 젖꼭지 살짝 위에두면 120/75~80 젖꼭지 높이면 130/80~90 나옵니다
섭식장애와 저체중에 역류성식도염 위염 있습니다 심전도 엑스레이는 정상으로 나왓는데 요즘들어 왼쪽 젖꼭지부분이 찌릿찌릿한게 역류성식도염 증상일수도 있나요?한번 아프다보니 심리적으로 너무 불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