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연골판 찢어진 상태, 수술 필요한가?
작년 5월 무릎연골판 MRI결과 안쪽에 찢어짐이 있었는데 통증이 많이 심하지 않고 일을 해야해서 한번씩 무릎안쪽이 따갑고 아프면 무릎 주사를 6개월에 한번씩 맞고 지냈는데 지금은 쉬고 있어 수술을 할지 고민중인데요 한번 찢어진 연골판은 원상복구가 되지 않나요 걸음도 잘 걷고 한번씩 따갑고 참을 만해서 참고 있는데 시간이 있을때 치료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작년 5월 무릎연골판 MRI결과 안쪽에 찢어짐이 있었는데 통증이 많이 심하지 않고 일을 해야해서 한번씩 무릎안쪽이 따갑고 아프면 무릎 주사를 6개월에 한번씩 맞고 지냈는데 지금은 쉬고 있어 수술을 할지 고민중인데요 한번 찢어진 연골판은 원상복구가 되지 않나요 걸음도 잘 걷고 한번씩 따갑고 참을 만해서 참고 있는데 시간이 있을때 치료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무릎 연골판(반월상연골)이 찢어진 경우, 수술이 필요한지 여부는 찢어진 정도, 위치, 환자의 증상,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환자의 건강 상태와 활동 수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연골판이 찢어진 경우, 자연적으로 완전히 원상복구되는 것은 드뭅니다. 연골판은 혈액 공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자가 치유 능력이 낮습니다. 그러나 모든 연골판 손상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경미하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면, 비수술적 치료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물리치료, 강화 운동, 체중 관리, 약물 치료, 주사 치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주사 치료로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장기적인 해결책이 아닐 수 있습니다. 수술을 고려할 때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거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주는 경우 -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나 기능 장애가 지속되는 경우 - 연골판 손상이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현재 증상이 참을 만하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면, 급하게 수술을 결정할 필요는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릎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기적인 검진과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이 있을 때 치료를 고려하는 것은 현명한 결정일 수 있습니다. 수술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최근의 무릎 상태를 평가받고, 증상의 변화, 활동 수준, 치료 목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반월상연골판이 손상되어 간단한 수술을 받았는데 (찢어진? 연골판을 다듬는 수술) 퇴원 후 무릎에서 계속 물 찬 것 같은 소리가 납니다. 정상인지 아니면 병원을 가봐야하는 문제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십자인대 재파열 증상이 뭘까요? 아니면 연골판이 다시 찢어지면 어디에 증상이 나타나나요? 의식해서 아픈건진 모르겠는데 무릎 앞 쪽이 찌릿찌릿 아프네요
무릎 락킹현상 mri상으론 뼈에 멍든것만 보인다는데 제 증상이나 만져보고 진단하셨을때 연골판이 찢어졌을때 증상같다고 지켜보자하시는데 mri에 안보일수도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