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야모야병 수술 후 두통과 호흡 곤란 시 응급실 진료 가능할까요?
2023년도에 영대병원에서 모야모야병 진단받고 서울대 병원에서 오른쪽 수술했는데 2월에 검진 같을때 왼쪽도 수술 받아야 된다고 해서 혈관 조영술 검사를 하니까 왼쪽이 않좋아졌다고 해서 7월에 왼쪽이랑 앞쪽을 수술하고 해복 단계 인데 지금 두통이 너무 심하고 숨이차고 가습이 답답한데 응급실에 가도 진료를 봐주나요? 또 경증이라고 진료를 안봐주고 그럴수도 있나요?
2023년도에 영대병원에서 모야모야병 진단받고 서울대 병원에서 오른쪽 수술했는데 2월에 검진 같을때 왼쪽도 수술 받아야 된다고 해서 혈관 조영술 검사를 하니까 왼쪽이 않좋아졌다고 해서 7월에 왼쪽이랑 앞쪽을 수술하고 해복 단계 인데 지금 두통이 너무 심하고 숨이차고 가습이 답답한데 응급실에 가도 진료를 봐주나요? 또 경증이라고 진료를 안봐주고 그럴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응급의학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이 많이 불편하고 걱정되실 것 같습니다. 모야모야병 수술 후 심한 두통과 호흡 곤란, 가슴 답답함은 매우 중요한 증상으로, 즉시 의료적 평가가 필요합니다.
응급실에서는 이러한 증상, 특히 모야모야병 수술 이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반드시 진료를 제공합니다. 모야모야병 환자의 두통과 호흡 곤란은 단순한 경증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뇌혈관 문제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어 응급실에서 우선적으로 검사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 방문하실 때는 모야모야병 진단 및 수술 이력, 최근 수술 날짜, 현재 복용 중인 약물 등의 정보를 준비해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능하다면 이전 진료 기록이나 수술 관련 서류를 지참하시면 더욱 신속한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질문자님의 증상은 즉각적인 의료적 평가가 필요하므로, 더 이상 지체하지 마시고 응급실을 방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2022년 12월에 모야모야병을 진단받고 2023년 2월에 오른쪽 개두술을 서울대병원에서 수술 받았습니다. 그이후 아무런 이상없이 잘 지내고 있는데 이번주 부터 계속 속이 안 좋고 몸이 계속 축 느러지면서 피곤한 일주일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제 부터 얼굴,팔,다리가 한번씩 저리는 증상이 나타나더니 저림이 한번 시작 되면은 기본적으로 1시간 동안 저리고 아무이상이 없다가 갑자기 다리가 잘 안움직일때도 있었습니다. 또 왼손에 힘이 잘 들어가지 않아서 물건을 떨어뜨리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두통과 어지럼을 호소하고있고 숨을 쉬고 있는데 숨이 잘 안 쉬어 질때도 있습니다. 또 명치 쪽이 갑자기 아파서 부여 잡을 때도 있었는데 병원에 가봐야 될까요? 하지만 부모님은 아무렇지 않게 넘기시는데 제가 만19세인데 혼자 응급실에 갈 수있나요? 그리고 응급실에 가봐야 될까요?
2022년 12월에 모야모야병을 진단받고 2023년 2월에 오른쪽 개두술을 서울대병원에서 수술 받았습니다. 그이후 아무런 이상없이 잘 지내고 있습니다. 오늘 아침에 감기 몸살 증상이 있어서 동네 이비인후과에 가서 진료를 보고 진료비 결제를 하려고 서있는데 어지럽더니 말이 어둔해지고 팔, 다리에 힘이 빠져서 제가 제 몸을 가눌수가 없었어요. 그리고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마다 명치고 찌릿 찌릿 거리고 숨을 쉬고 있는데 숨이 잘 안 쉬어 지는 느낌이 들어요. 또 두통과 어지럼증이 있어요. 그리고 산소포화도가 92% ~ 95%가 나오는데 병원에 가봐야 될 까요? 하지만 부모님은 아무렇지 않게 넘기시는데 제가 만19세인데 혼자 응급실에 갈 수있나요? 부모님이 집에 안계시는데 119를 불러서 응급실에 가봐야 될까요?
2022년 12월에 영대병원에서 모야모야병을 의심 한후 2023년 2월에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수술 받았는데 몇 주 전 부터 명치 쪽이 쥐어짜듯이 수시로 아픈데 부모님께 말씀 드리고 지금 응급실에 가봐야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