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플라스틱 장난감을 삼켰는지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렇게 생긴 플라스틱 장난감을 30개월 아기가 먹은 건지 안먹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입으로 넣는 척을 하긴했는데 장난감 갯수가 많아서 먹은건지 안먹은 건지 모르겠네요 켁켁거리거나 하진 않았는데 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료 결재를 해서 질문했는데 증상이 없어도 병원을 가라시네요 당장 뭐가 맞는 방법일까요
이렇게 생긴 플라스틱 장난감을 30개월 아기가 먹은 건지 안먹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입으로 넣는 척을 하긴했는데 장난감 갯수가 많아서 먹은건지 안먹은 건지 모르겠네요 켁켁거리거나 하진 않았는데 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료 결재를 해서 질문했는데 증상이 없어도 병원을 가라시네요 당장 뭐가 맞는 방법일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30개월 아기가 플라스틱 장난감을 먹었는지 안 먹었는지 알 수 없으나 현재 증상이 없는 상태인데도 병원을 가야 하는지 걱정되실 것 같아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증상이 없다면 삼키지 않았거나 삼켰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지만 확실한 확인을 위해서는 검사 혹은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먼저 30개월 아기는 아직 구강으로 탐색하는 시기로 작은 물건을 삼키는 행동이 조용하게 일어날 수 있고 순간이라 보호자가 놓치기 쉬워요.
따라서 입에 넣는 척을 했고 장난감 개수가 많아 정확한 수량 확인 및 확인이 어렵다면 삼켰을 가능성은 있다고 간주하셔야 합니다.
아기가 켁켁거리거나 토하거나 기침하지 않았다면 장난감이 기도로 흡인되었을 가능성은 낮지만, 식도로 삼켰을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어요.
특히 플라스틱 장난감에 모서리가 있고 날카로운 부분이 있다면 현재 증상이 없더라도 확인을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물론 플라스틱 조각을 삼켰더라도 보통 큰 문제와 손상 없이 대변으로 배출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의심되지만 증상이 없는 삼킴의 경우에는 소아 응급 진료에서도 영상 검사 후 경과 관찰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아 확인을 받아보시는 것이 안전해요.
특히 30개월 아기라면 아직은 본인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아기가 삼키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고 삼켰더라도 증상이 아예 없을 가능성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많이 걱정되시겠지만 단순히 증상이 없으니 괜찮겠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확실히 확인하는 편이 조금 더 안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현재 상황에서는 아이가 삼켰는지 삼키지 않았는지 검사 없이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삼킨 상황이라고 해도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아이에게 문제가 없을 가능성도 높아요.
다만 병원 진료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30개월 아기인 만큼 조심스러운 대응이 필요할 수도 있어 보여 진료를 권해 드린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 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우리 아이, 감기 걸렸을 때 증상별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소아과 비대면진료 방법도 함께 정리했어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이렇게 생긴 플라스틱 장난감을 30개월 아기가 먹은 건지 안먹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입으로 넣는 척을 하긴했는데 장난감 갯수가 많아서 먹은건지 안먹은 건지 모르겠네요 켁켁거리거나 하진 않았는데 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기가 녹슨 장난감을 조금 빨았는데 당장 병원을 가야할까요 아님 어떤 증상이 있는지 기다렸다 가야할까요? 있다면 어떤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야하나요?
아이가 장난감을 삼켰어요. 응급처치법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