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2기 수술 후 임파선 절제술 미시행, 이유는?
2개월 전 전립선암2기 수술받은 환자입니다. 수술전 PSA:6.1 글리슨4+3 분화구 3등급 병기 pT2 입니다. 수술 기록지 보았늘때 교수님이 수술할때 임파선 절재술을 시행 한것 같지 않은것 같은대 왜? 수술 하지 않으셨는지 궁굼하여 질문드립이다. 다른환자 기록지보면 병기뒤에 NOMO(전의없음)이런 글이 있는대 저는 pT2란 병기 뿐이 없습니다.
2개월 전 전립선암2기 수술받은 환자입니다. 수술전 PSA:6.1 글리슨4+3 분화구 3등급 병기 pT2 입니다. 수술 기록지 보았늘때 교수님이 수술할때 임파선 절재술을 시행 한것 같지 않은것 같은대 왜? 수술 하지 않으셨는지 궁굼하여 질문드립이다. 다른환자 기록지보면 병기뒤에 NOMO(전의없음)이런 글이 있는대 저는 pT2란 병기 뿐이 없습니다.
전립선암 2기로 수술을 받으신 상황에서, 임파선 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전립선암 수술 시 임파선 절제술은 모든 환자에게 필수적으로 시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임파선 절제술은 암이 림프절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을 때 주로 시행되는데, 귀하의 경우 수술 전 PSA 수치와 글리슨 점수, 병기 등을 고려했을 때 담당 교수님께서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셨을 수 있습니다. 기록지에 "N0M0"와 같은 표기가 없는 것은 병원마다 기록 방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N0M0"는 림프절 전이(N0)와 원격 전이(M0)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귀하의 기록지에 pT2라는 병기만 기록된 것으로 보아, 수술 후 병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가 기록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수술을 집도한 교수님과 직접 상담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 추가적인 설명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환자분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적절한 치료 계획을 위해 의료진과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 전립선 비대증으로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전립선암도 의심된 상황이라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조직검사도 같이 했다던데 전립선암은 바깥부터 생긴다고 했나 안쪽부터 생긴다고 했나 그러시면서 이 조직검사는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만약 조직검사 결과 이상없다고 나오더라도 초음파로 들어가서 바늘로 찔러보는 조직검사를 다시 시행해야할 수도 있다던데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시 시행하는 조직검사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초음파로 하는 조직검사로 해야 정확한 게 맞나요? 2. 전립선특이항원검사 수치가 높은데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로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 한 후 다시 검사했을 때 정상 수치라면 수치가 높은 게 전립선암이 원인이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이 원인인건가요? 3. 전립선특이항원 검사에서 수치가 높은 상태에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하려고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후 다시 검사를 다시 했는데 만약 수치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거나 더 높아졌다면 전립선암일 수 있나요?
전립선암 증상이 뭔가요 중2도 전립선암 걸릴수 있나요
전립선암 수술로 전립선과 정낭제거후 고환는 정액이 하나도 없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