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통증과 호흡곤란은 심리적 요인 뿐만 아니라 심장이나 폐 등의 신체적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통증은 '가슴통증'이라고 불리는 심인성 통증으로, 스트레스나 불안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장 통증과 호흡곤란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심장마비나 협심증, 폐색전증, 심근염, 심장 판막 질환 등 심혈관계 질환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호흡기내과에서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셨으니, 다음 단계로 순환기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순환기내과에서는 심전도 검사, 심장 초음파 등을 통해 심장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하다면 운동부하 검사나 관상동맥 조영술과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좀 더 정밀한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장 통증이나 호흡곤란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에는 심장마비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증상이 반복되거나 심해진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가슴 통증이 심하거나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통증이 팔이나 목, 턱, 등으로 퍼지는 경우, 심한 불안감이나 호흡곤란, 식은땀 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심장마비의 전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합니다.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통증이라면, 심리상담이나 스트레스 관리, 이완 기법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리적 요인이라고 가정하기 전에 신체적 원인을 먼저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순환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고, 필요하다면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도 전문가와 상담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