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뇌출혈 후 회복중인 가족이 있어, 많이 걱정되셨겠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뇌출혈이 있었을 때 얼마나 빨리 응급실에 갔는지, 뇌손상의 정도, 재활 치료 시작 시기, 대상자의 나이 등에 따라 회복은 다를 수 있습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뇌출혈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시야 장애, 감각 이상, 언어장애, 운동장애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뇌출혈 후 우측 시야 쏠림현상은 뇌출혈로 인해 시신경 경로에 손상이 발생하여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특히 우측 시야 쏠림은 뇌의 좌측 반구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좌측 편마비는 우측 대뇌피질의 손상으로 근 긴장도나 평형감각에 결함이 생기며 팔다리의 운동 기능에 저하가 있을 수 있어요.
뇌출혈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정 조절 능력도 그 중 하나로 울먹이고 있는 것은 감정 조절이 어려워서 일수도 아니면 정서적 기능을 하고 있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반응의 빈도, 강도, 일관성이 회복의 중요한 지표이며, 현재처럼 중환자실 재입원과 전신 쇄약 및 과거력이 있으면 재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또한, GCS 점수를 통해 의식 장애 정도를 사정해 볼 수 있어요.
의식장애의 수준을 눈뜨기, 언어, 운동 3가지로 구분 후 단계를 4 - 6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매기는 방법이에요
GCS의 점수가 높을수록 의식 수준이 좋다고 판단합니다.
정상치는 15점으로 13~15점은 경증 손상, 9~12점은 중등도 손상, 8점 이하는 중증으로 한 번 확인해 보시거나 병원에 방문했을 때 물어보시면 현재 환자분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경과를 관찰해 보시면 좋을 듯해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