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진단 후 멍울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 암세포 기저막 뚫지 않았을 가능성은?
멍울이 만져지지 않는 유방암 질문이요. 저희 어머니가 유방암 진단을 받으셨고 크기가 2.8cm정도 된다고 하십니다. 그런데 멍울이 만져지지 않으면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나오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지 않았을 경우엔 암덩어리 크기가 1cm이든 100cm이든 0기라고 본거같아서요.
멍울이 만져지지 않는 유방암 질문이요. 저희 어머니가 유방암 진단을 받으셨고 크기가 2.8cm정도 된다고 하십니다. 그런데 멍울이 만져지지 않으면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나오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지 않았을 경우엔 암덩어리 크기가 1cm이든 100cm이든 0기라고 본거같아서요.
유방암 진단을 받으신 어머니의 경우, 멍울이 만져지지 않는다고 해서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지 않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어요. 유방암의 경우,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지 않은 상태를 '상피내암' 또는 '0기 유방암'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암세포가 유방의 관이나 소엽의 기저막을 넘어 주변 조직으로 침투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암의 크기가 2.8cm인 경우, 일반적으로 상피내암보다는 침윤성 암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암이 진행되어 유방에서 만져질 정도가 되려면 크기가 적어도 1cm 이상은 되어야 하며, 이때는 병이 많이 진행되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크기가 2.8cm라고 하면 상피내암보다는 침윤성 암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와 같은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며,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방암의 경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므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만져지는 멍울도 없음, 외관상의 아무런 변화 없음(유두 분비물, 피부 변색, 유두 함몰 등등), 염증성 유방암 마냥 피부가 부어오르지도 않음, 그런데 크기는 초음파상 2.8~3cm인 유방암이면 이건 무슨 경우일까요 만져지는 멍울이 없다면 암세포가 기저막을 아직 뚫지 않았을 경우가 있지 않나요? 어떤 의사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지 않았다면 암 크기가 1cm이든 10cm이든 관상피내암이다 라는 말씀을 듣기도 했구요.
멍울이 만져지않는 유방암은 어떤 경우인가요?
유방암 미세병변 즉, 0기나 1기초 되는 암세포가 1년만에 3,4기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나요? 그런 경우는 매우 드물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