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레이저치료 후 눈 아픔, 산동제 검사로 문제 확인 가능할까요?
망막레이저치료를 하고 두달정도 지났는데 눈이 아파서 안과에 갔더니 이상은 없다고 하셨어요. 산동제를 넣고 검사해보면 문제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두쪽 눈이 다 건조하긴한데 레이저를 한 눈은 아프기까지해서 망막레이저치료가 눈을 더 건조하게 만든건지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망막레이저치료를 하고 두달정도 지났는데 눈이 아파서 안과에 갔더니 이상은 없다고 하셨어요. 산동제를 넣고 검사해보면 문제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두쪽 눈이 다 건조하긴한데 레이저를 한 눈은 아프기까지해서 망막레이저치료가 눈을 더 건조하게 만든건지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망막레이저치료 후 눈의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요. 산동제를 사용한 검사는 동공을 확장하여 망막과 안구 내부의 상태를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해주므로, 망막의 상태나 레이저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그러나 눈의 건조함이나 통증의 원인이 망막에 국한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산동제 검사만으로 모든 문제를 파악할 수는 없다는 점을 알아두셔야 해요. 망막레이저치료가 눈의 건조함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개인의 반응이나 치료의 범위, 기존의 눈 상태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레이저 치료가 직접적으로 눈의 건조함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료 과정에서 눈물막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일시적인 눈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요. 치료 후 눈의 통증이 지속된다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어요: 1. 안압 검사: 눈의 압력을 측정하여 녹내장과 같은 다른 질환을 배제합니다. 2. 눈물막 검사: 눈물의 양과 질을 평가하여 건조증의 정도를 확인합니다. 3. 안구 표면 검사: 염색약을 사용하여 각막과 결막의 손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4. 염증 마커 검사: 눈의 염증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눈의 건조함과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인 안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해요. 필요한 경우, 다른 안과 전문의의 의견을 구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또한, 인공눈물 사용, 환경 조절, 눈의 휴식 등 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한 일상적인 관리도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비문증이 최근 생기고 눈 한쪽이 좀 뚜렷하게 안보이는 느낌이라 어제도 가서 검사하고 왔는데 다 이상없다고 하더라구요 (그 사방으로 눈 검사하는 기계로 했거든요) 근데 자꾸 무산동으로만 검사시키는데 무산동으로 망막 진단도 가능한가요? 다른곳에서 보니 무산동만 계속하다 산동했더니 망막에 문제있는거 발견했다 하는데 다른 분들은 다 산동하는데 저는안해주더라구요 계속ㅜ 다시 예약잡아서 가야할까요ㅜ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ㅜ
눈 다친지 3주가 지나서 오늘 안저검사를. 했는데 이상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산동검사는 안저검사에서 시신경과 망막 황반에 이상이 없어서 안하셨던거같은데 안저검사를 한 이후로 눈부심이 심하고 심각한 눈통증은 여전하고 눈이 맵고 따갑고 쓰리고 아프고 난리도 아닌건 마찬가지입니다 눈이 잘 안보이고 약간의 복시가 있고 초점이 안맞기도 하구요 눈이 꼭 실명될거같아요 시야가 좁고 흐리게 보여요 하지만 안저검사에서 이상은 없었습니다 혹시 산동검사를 했어야 되었을까요? 아니면 의사의 판단대로 산동검사를 안하길 잘한걸까요? 그리고 외상을 당한 후 안저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면 산동검사에서도 이상이 없을 가능성도 높은 편인가요? 아니면 안저검사에서 이상이 없어도 산동검사시에 망막박리나 망막열공 또는 안구파열이나 유리체 손상 등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은 어느정도 되나요? 또한 눈에 외상을 크게당했는데도 시신경이나 황반이나 망막에 문제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문증 있어서 망막 검사를 하자나요? 망막은 눈에 동공 크게 산동인가 안약을 넣기전에 검사를 하나요 안약을 넣고 산동후 동공이 커지고 망막 검사를 하나요? 망막 검사를 하면 시신경이나 녹내장 있는지도 검사가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