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헤르페스 전염성 관련 질문
2형 헤르페스 증상이 있을때 약먹고 피딱지가 생기면 전염성이 사라진다고 의사쌤이 말씀하시던데 인터넷에는 증상이 없어도 옮길수 있다고 나와있어서 어느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없을시 관계전에 약을 1회 복용한 후 관계를하면 전염성이 거의 없다는데 이건 또 무슨말인가요?
2형 헤르페스 증상이 있을때 약먹고 피딱지가 생기면 전염성이 사라진다고 의사쌤이 말씀하시던데 인터넷에는 증상이 없어도 옮길수 있다고 나와있어서 어느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없을시 관계전에 약을 1회 복용한 후 관계를하면 전염성이 거의 없다는데 이건 또 무슨말인가요?
2형 헤르페스는 증상이 없을 때에도 바이러스가 피부 표면에 존재하여 전염될 수 있는 상태인 무증상 바이러스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염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피딱지가 생겼다고 해서 전염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전염성은 남아 있어서 성관계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바이러스의 활동을 억제하여 전염성을 줄일 수 있으나, 이 방법이 전염성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없을 때 예방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항상 주의가 필요하며, 안전한 성생활을 위해서는 콘돔 사용과 같은 추가적인 예방 조치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헤르페스 2형 감염은 성기 주변에 수포를 발생시키며,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파트너와 함께 치료가 필요하며, 균 검출이 되지 않을 때까지 성관계를 피해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형 헤르페스 약을 지었는데 예전 병원에서 짓던 약이랑 다르네요. 예전에는 동그란 흰색 알약3개 였고 하루에 3번 복용했는데 이번에는 하루에 한번만 복용해도 된다고 하네요. 두 약의 차이점과 종류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병원에서는 약먹고 수포가 없어지고 피딱지가 생기고 나면 전염성이 없어져서 관계도 가능하다고 하던데 인터넷에 보니깐 무증상일때도 전염될수 있다고 하고 어떤게 맞는건가요? 헤르페스에 비타민c가 좋다고 하던데 맞나요? 헤르페스를 잘 유발시키는 음식들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유로박솜은 헤르페스 증상을 유발시킬 수 있나요?
헤르페스 1형을 성기에 보유했을 경우, 성기 접촉으로만 전염이 가능한가요? 헤르페스 1형과 2형의 증상 및 위험성 차이는 무엇인가요? 헤르페스 1형의 전염성을 낮추는 방법은? 같은 보균자일 경우에도 전염이 될 수 있나요?
헤르페스 전염성 관련하여 여쭤보았는데 성관계를 삼가하라고 하신 답변은 구강성교를 하지말라고 하신걸까요? 구강성교로 1형이 옮지 않았다면 1형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성기에 수포가 생기진 않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