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후 8일 혈액검사 결과의 신뢰도와 변화 가능성
마지막 관계 8일 후 혈액검사를 받아보니 수치가 0.2가 나와 비임신 판정을 받았습니다. 1. 정확한 결과를 알기 위해선 10일 이상 지나서 혈액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8일 차 검사 결과와 10일 차 검사 결과가 확연히 차이날 수 있나요? 8일차 0.2의 수치에서 급격히 변하는 경우가 있나요? 2. 관계 후 8일이 지난 시점에서의 혈액검사 결과는 어느정도 신뢰할 수 있나요?
마지막 관계 8일 후 혈액검사를 받아보니 수치가 0.2가 나와 비임신 판정을 받았습니다. 1. 정확한 결과를 알기 위해선 10일 이상 지나서 혈액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8일 차 검사 결과와 10일 차 검사 결과가 확연히 차이날 수 있나요? 8일차 0.2의 수치에서 급격히 변하는 경우가 있나요? 2. 관계 후 8일이 지난 시점에서의 혈액검사 결과는 어느정도 신뢰할 수 있나요?
1. 관계 후 8일 차의 혈액검사 결과와 10일 차의 결과가 확연히 차이날 가능성은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hCG 호르몬 수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8일 차에 비임신 판정을 받았더라도 10일 차에 임신이 확인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원하신다면 10일 이상 지난 후에 다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산부인과로 내원해보실 것을 권유드려요. 2. 관계 후 8일이 지난 시점에서의 혈액검사 결과는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지만, 임신 초기의 hCG 호르몬 수치가 아직 충분히 높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신뢰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관계 후 10일에서 14일 사이에 hCG 호르몬 수치가 더 명확하게 나타나므로, 이 시점에서의 검사가 더 신뢰할 만합니다. 초기에 너무 빠른 검사는 임신 호르몬이 적어 오류일 확률이 높지만, 관계 14일 후까지 조금 더 기다려보실 것을 권장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마지막 관계 8일 후 혈액검사의 신뢰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성관계 6주후 헤르페스 혈액검사 음성인데 신뢰도 정확도 높나요? 감염됐으면 항체가 있어서 양성이겠죠?
1월 14일경 의심 관계후 2월 7일경 부터 목 앞부분 임파선?이 부은 느낌과 마른기침, 가래가있어 이비인후과에서 세네트정, 펠로엔정, 뮤코라민정, 넥스팜염산부록솔, 코슈엘정, 피디원정 을 3일 처방받았습니다. 증상이 남아있어 오늘 다시 약과 가래약 2종을 추가로 처방받았고 오늘 오후부터 3일 전보다 마른 기침이 늘었고 눈 뒷쪽에 열감이 느껴저 체온을 제보니 37.2도 36.9도, 최근에 변 상태도 조금 묽었고, 185 85키로에 많이 먹는편인데 식욕도 없고 약을 3일 먹었는데 목이 더 부은 느낌을 받고 마른기침이 잦구요 가래도 좀 많은 것 같고 피로감도 있는것 같고 목이 따가운 느낌이 없어서 일반적인 감기가 아닌 느낌을 받습니다. hiv감염증상과 비슷해서 Hiv가 걱정되네요 4주 지나서 항원 항체 검사를 권하던데 내일 3주 5일에 검사를 받으려고합니다. 검사를 받아도 결과가 신뢰도가 있을까요? 만약 음성이 나온다면 언제 다시 검사를 받아야할까요? 무증상도 있다니까 더 걱정됩니다..